▲ 지난 19일 박지영 내란특검보가 서울 서초구 고등검찰청 기자실에서 내란특검 브리핑을 하고 있는 모습
12·3 비상계엄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팀은 오늘(5일) '외환 의혹' 관련 수사의 마무리가 임박했다고 밝혔습니다.
박지영 특검보는 오늘 정례브리핑에서 "외환 의혹의 경우 늦어도 다음 주 중으로 기소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박 특검보는 "피의자의 범위나 범죄 사실 등을 정하는 것은 최대한 신중하고 절제된 범위 내에서 이뤄질 것"이라며 "기소 등 처분도 이런 점들을 고려해 처리할 예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특검팀이 수사 중인 외환 의혹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의 명분을 만들 목적으로 지난해 10월쯤 드론작전사령부에 평양 무인기 투입 작전 등을 지시했다는 내용을 뼈대로 합니다.
특검팀은 투입된 무인기가 평양 인근에 추락함으로써 작전·전력 등 군사 기밀이 유출된 만큼, 일반이적죄 적용이 가능한지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특검팀은 이와 관련해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 등 군 관계자들을 여러 차례 불러 조사하면서, 작전 준비부터 실행 단계까지 보고 경로와 의사결정 과정 등을 파악했습니다.
지난달에는 의혹의 '정점'인 윤 전 대통령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습니다.
윤 전 대통령은 진술 거부권을 행사하면서도 혐의를 부인하는 취지의 주장을 일부 펼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특검팀은 '내란 의혹'과 관련해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에 대한 구속영장 재청구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박 전 장관은 비상계엄 선포 이후 법무부 실·국장 회의를 소집하고, 합동수사본부 검사 파견 검토 및 교정시설 수용 여력 점검, 출국금지 담당 직원 출근 등을 지시하는 등 윤 전 대통령의 내란 범죄에 순차적으로 가담한 혐의를 받습니다.
박 특검보는 "추가 압수수색 관련 분석 작업이 늦어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분석 결과가 나오면 검토를 거쳐 재청구할 것이고, 많이 늦진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특검팀은 오늘 오전부터 신용해 전 법무부 교정본부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 중입니다.
박 특검보는 "박 전 장관의 혐의와 관련된 내용"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오늘 서울남부지법에서는 '국회 계엄 해제 방해 의혹'과 관련해 특검팀이 청구한 김태호 국민의힘 의원의 공판 전 증인신문도 열렸습니다.
다만 김 의원이 이번에도 출석하지 않아 신문 없이 차회 기일이 지정됐습니다.
서범수 의원 역시 불출석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박 특검보는 "증인 신문 청구 사유가 소멸하지 않아 청구를 계속 유지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