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요즘 떼를 지어 날아다니는 러브버그 때문에 사람들 불편이 커지고 있다는 소식 전해드렸습니다. 앞으로 일주일이 고비가 될 걸로 보이는데요. 지금부터는 이게 대체 왜 나타난 거고, 잡을 방법은 없는 건지 종합적으로 짚어보겠습니다.
먼저 방제에 나선 현장에 장세만 기후환경전문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오늘(2일) 낮 인천 계양산 정상, 짝짓기를 위해 신혼 비행에 나선 러브버그가 하늘을 뒤덮었습니다.
방제용 비닐 띠에는 붙잡힌 벌레들이 시커멓게 달라붙었습니다.
조망용 망원경에도, 나무 계단에도 온통 벌레 천지입니다.
가장 심했던 지난 주말보다는 개체수가 절반 가까이로 줄어들었는데도 이 정도입니다.
앞으로 1주일이 대발생 고비인데, 7월 중순이 되면 모두 사라질 전망입니다.
외래종에다 사람 몸에 붙어 불쾌감을 줘 퇴치하라는 목소리도 크지만 딱히 해를 끼치진 않습니다.
농약으로 인한 부작용을 우려해서 친환경적인 방제법을 테스트해 왔는데, 효과가 있는지 보겠습니다.
북한산 자락에 설치한 포집 장치, 장미꽃 향기가 러브버그를 유인한다는 미국 사례를 참고해 올해 처음 설치했는데, 효과는 기대 이하였습니다.
미국 러브버그와 국내종이 비슷하긴 하지만 세부적으로는 종류가 달라 생태 특성이 일치하지 않는 겁니다.
[박선재/국립생물자원관 연구관 : 종간 특이성에서 이 벌레를 유인하는 그런 성분이 좀 달라서 그런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을까 분석을 해보고요. 다른 또 유인물질이라든가 어떤 페로몬 개발을 통한 (유인제 개발을 계획 중입니다.)]
야간 시간대 불빛으로 유인하는 장치는 그래도 효과가 있었는데 다른 곤충들까지 뒤섞여 잡힌다는 게 단점입니다.
현재로서는 효과적인 방재법을 못 찾은 상황이라, 6월 말부터 7월 초, 러브버그 대발생 시기에는 산이나 야외 공원 출입을 피하는 게 좋습니다.
(영상취재 : 이상학, 영상편집 : 김윤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