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제안으로 급물살을 탔던 휴전 협상이 다시 지지부진해지는 모습입니다. 일단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양국 정상회담은 무산됐고 협상 대표단 간 회담도 하루 미뤄졌습니다. 협상 목표를 두고 큰 입장 차를 보이고 있어 성과가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정다은 기자입니다.
<기자>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3년 만의 첫 직접 협상이 불발됐습니다.
양국 정상회담은 일찌감치 무산됐고, 현지시간 15일로 예정된 협상 대표단 간 회담도 하루 연기됐습니다.
러시아 타스 통신에 따르면 세부 계획상 이유로 대표단 회동은 16일 시작될 것으로 보입니다.
16일 이스탄불에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미국 대표단과 튀르키예 외무장관이 회동할 것이라는 보도도 나왔습니다.
앞서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3년 전 협상 대표였던 메딘스키 보좌관을 단장으로 하는 협상단을 튀르키예 이스탄불로 보냈습니다.
지난 11일 자신이 던진 협상 제안에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정상회담으로 하자'며 역제안한 걸 거부한 겁니다.
이에 젤렌스키 대통령도 15일 오후 이스탄불에는 자신이 가지 않고 협상 대표단만 파견하기로 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양측은 협상 시작 전부터 팽팽한 기싸움을 되풀이했는데, 협상 '목표'를 두고도 극명한 입장차를 보였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대표단의 임무가 '휴전'을 논의하는 것이라고 밝혔지만, 러시아는 이번 이스탄불 대화가 2022년 중단된 협상의 연장선으로, '장기적 평화 구축'이 목표라고 결이 다른 입장을 내놨습니다.
2022년 결렬된 협상 당시 러시아의 요구안은 사실상 우크라이나의 항복으로 해석돼 우크라이나가 그대로 받아들일 가능성은 희박합니다.
결국, 협상이 이뤄지더라도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긴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
(영상편집 : 채철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