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선 Pick
펼쳐보기

쿵 소리에 "곧바로 연락"…'집에서 늙어가기' 걱정 없다

<앵커>

시니어 산업의 현주소와 미래를 짚어보는 연속보도, 오늘은 요양원이 아닌 내가 살아온 집에서 나이 들어갈 수 있게 도와주는 기술 이야기입니다. 혼자 사는 집에서 말동무가 돼줄 뿐 아니라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도와주는 로봇까지 등장하고 있습니다.

홍영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성남시의 이 사회복지관에서는 어르신들이 가정용 로봇을 다루는 법을 배웁니다.

AI 비서 기능이 있는 로봇입니다.

말벗이 되기도 하고,

[내가 무릎이 안 좋은데요, 좋은 운동 좀 가르쳐 주세요. (수영이나 자전거 타기를 추천해요. 무릎에 부담이 적어요.)]

고민도 나눌 수 있습니다.

[우리 딸이 전화를 안 받아요. (걱정하지 마세요. 잠시 바쁠 수도 있어요. 조금 후에 다시 전화해 보세요.)]

이런 로봇은 노년에 홀로 살더라도 정서적 만족감은 물론, 스스로의 삶을 통제하는 자율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규순/성남시 중원구 : 내가 마음이 굉장히 활발해지고 마음도 더 건강해진 것 같아. 많이 하니까 좀 나도 부드러워졌고. 많이 보급해 주면 좋죠.]

최근 Aging in place, 즉 '익숙한 집과 지역사회에서 늙어가기'는 노년의 삶의 질을 높이는 핵심 요소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노년층의 87%는 건강이 유지되는 한 살던 지역, 살던 집에서 머물고 싶어 했고, 절반 가까이는 건강이 나빠지더라도 병원이나 요양원이 아니라 내 집에서 생활하며 적절한 도움을 받고 싶다고 답했습니다.

[진재원/서울 양천구 : 안정도 되고 내가 하고 싶은 정리 할 수 있는 그런 기회도 갖게 되는 거지. 남의 손에 있다가 가버리면 가족도 자식들도 다 고생이지.]

집 안 곳곳을 돌아다니는 시니어 케어 로봇은 홀로 지내던 노인이 갑자기 쓰러진 비상상황을 감지해 냅니다.

[낙상이 감지되었습니다. 보호자에게 곧바로 연락하도록 하겠습니다.]

사물인터넷과 AI 기술을 주거 공간에 접목한 스마트홈 기술은 전화기가 아닌 가전제품에도 화상통화 기능을 도입하는 데까지 나아갔습니다.

[아빠 왜 전화를 안 받아? (아빠 거실에서 책 보고 있었지. 휴대전화는 충전 중이라 몰랐네.)]

[성수현/삼성전자 DA사업부 프로 : 일정 시간 동안 부모님의 냉장고, 정수기 등 가전제품 사용이 확인되지 않으면 이상 징후로 판단해서 자녀의 휴대전화로 알람을 보내고.]

익숙한 환경에서 늙어가는 게 환경 변화로 인한 스트레스를 줄여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는 많습니다.

인공지능과 로봇, 스마트홈 등 첨단 기술은 건강과 존엄성을 지키며 '좋은 죽음'을 맞이할 수 있게 돕는 도구로 새로운 수요를 만들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제일·김태훈, 영상편집 : 김준희, 디자인 : 최진회·강경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