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작년 인구 자연증가 8천 명 '역대 최소'…"올해 자연감소 시작"

작년 인구 자연증가 8천 명 '역대 최소'…"올해 자연감소 시작"
지난해 인구 자연증가(출생-사망)가 역대 최소인 8천 명에 그쳤습니다.

올해부터는 인구 자연감소 시대로 접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통계청이 오늘(26일) 발표한 '2019년 출생·사망통계 잠정 결과'를 보면 지난해 인구 자연증가 규모는 8천 명으로 전년보다 2만 명(-71.7%) 줄어들며 1970년 통계 작성 이후 최소치를 기록했습니다.

전년 대비 감소폭도 역대 최대입니다.

이는 출생아 수가 30만 명을 간신히 턱걸이하며 역대 최소인 반면 사망자 수는 29만5천 명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한 데 따른 결과입니다.

지역별로는 경기(2만3천 명), 서울(1만 명) 등 8개 시도는 인구가 자연증가했습니다.

반면 경북(-7천 명), 전남(-6천 명) 등 9개 시도는 자연감소했습니다.

1980년대만 해도 인구 자연증가는 50만 명을 넘겼습니다.

그러다 1998년 40만 명, 2005년 20만 명 밑으로 차례로 떨어졌습니다.

2017년엔 7만2천 명에 그치는 등 최근 들어 감소세가 가팔라졌습니다.

출생자 급감과 사망자 증가 추세로 미뤄볼 때 당장 올해부터 인구절벽이 시작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작년 4분기에 인구 자연감소(-7천300명)가 발생했습니다.

2018년 4분기(-1천200명)에 이어 두 번째입니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자연증가 8천 명은 거의 '0'에 가까운 숫자"라며 "출생아 수가 계속 더 감소하고 사망자 수는 고령화 때문에 늘어나는 추세가 지속되면 올해 자연감소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통계청은 작년 3월 발표한 '장래인구특별추계: 2017∼2067년'에서 인구의 국제이동을 빼고 사망자 수와 출생아 수만 보면 2019년 7월부터 2020년 6월 기준으로 인구 자연감소가 시작할 것으로 예측했는데, 이런 전망이 현실화하고 있는 셈입니다.

통계청은 장래인구특별추계(7월부터 다음 해 6월까지 기준)에서 2017년 35만 명이던 출생아 수가 2019년 31만 명, 2067년에는 21만 명 수준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고, 사망자는 2017년 29만 명, 2019년 31만 명, 2067년에는 74만 명 정도가 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통계청이 2016년 발표한 중위 추계에서는 자연감소가 2029년에 시작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저출산 추세가 가속화하면서 작년 발표한 중위 추계에서는 자연감소 시작 시기가 10년이나 앞당겨졌습니다.

한편, 작년 사망자 수는 29만5천100명으로 1983년 통계 작성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던 2018년(29만8천900명)보다 3천700명(-1.2%) 감소했습니다.

사망자 수가 감소한 것은 2013년 이후 처음입니다.

통계청은 겨울 한파 등으로 2018년 사망자 수가 급증가한 데 따른 기저효과 때문으로 해석했습니다.

작년 사망자를 성별로 나누면 남성이 16만300명으로 여성(13만4천800명)의 약 1.2배였습니다.

특히 60대 남성 사망자 수는 여성 사망자 수의 약 2.8배에 달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