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의 보수 유튜버 선호 현상이 점점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황 대표의 농성 12일째인 오늘(22일) 현재도 국회 본청 로텐더홀 농성장에는 5∼6명의 보수 유튜버가 상주하며 실시간 생중계를 하고 있습니다.
황교안 대표는 농성 중에 "수고가 많다"며 유튜버들에 먼저 말을 걸거나 즉석 인터뷰 요청에 흔쾌히 응하는 등 이들에게 우호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보수 유튜버들은 앞서 황 대표가 청와대 앞에서 단식 농성을 할 때도 거의 24시간 방송을 했고, 한밤중 병원 이송 장면까지 생중계했습니다.
그 이후 황 대표 지시로 한국당은 이들에게 당 출입 기자와 동일하게 주요 회의나 행사 취재를 할 수 있도록 허용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황 대표가 의원총회에서 '유튜버들에게 입법보조원 자격을 줘 국회 출입 기자와 비슷한 자격을 부여하자'는 제안을 해 논란을 빚은 적도 있습니다.
당내에서는 보수 유튜버들이 국회에 상주하며 실시간 방송을 하는 데 대한 비판적 시각도 있습니다.
한 중진 의원은 언론과의 통화에서 "로텐더홀이 상징하는 의회민주주의의 질서를 허물어뜨릴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보수 유튜버들과 기존 언론사 취재진 간에, 보수 유튜버들 간에 충돌하는 일도 잦아지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한국당은 지난 19일 기존 언론을 겨냥해 '편파·왜곡 보도 시 삼진 아웃제' 적용 방침을 밝혔습니다.
하지만 한국당 미디어특별위원장인 박성중 의원은 오늘 기자회견을 열고 "언론사와 기자들 사이에서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는 점을 심각하게 받아들인다"며 삼진아웃제 도입을 3일 만에 철회했습니다.
박 의원은 "삼진아웃 발표는 명백하게 편향적인 일부 언론의 보도에 대해 그 부당함을 알리기 위한 절규와 같은 조치였다"고 설명했습니다.
한국당은 이와 함께, 국회 사무총장을 찾아 보수 유튜버들의 국회 출입·취재 허용을 요구했습니다.
이런 '보수 유튜버 챙기기'는 탄핵 사태 때부터 쌓인 언론에 대한 피해 의식과 불신이 깔린 것으로 보입니다.
민경욱 의원은 언론 통화에서 "유튜브는 방송으로부터 철저히 배제되고 홀대받는 한국당의 입장을 있는 그대로 외부에 전달할 수 있는 많지 않은 통로들 가운데 하나"라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