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성인 10명 중 7명 "동네 의원 진료에 만족 못 한다"

성인 10명 중 7명 "동네 의원 진료에 만족 못 한다"
우리나라 성인 10명 중 7명은 동네의원의 의료서비스에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1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미래 보건의료 정책 수요 분석 및 정책 반영 방안' 보고서를 보면 우리나라 국민은 1차 의료기관인 의원에 대한 신뢰가 낮고 의원의 의료서비스 질도 낮다는 인식이 컸습니다.

지난해 만 19∼69세 성인 2천명을 대상으로 치료 효과와 접근성 등 동네의원의 전반적인 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보통'이라는 응답이 56.8%, '불만족(불만족+매우 불만족)' 응답이 12.2%였습니다.

'만족(만족+매우 만족)'한다는 응답은 31.1%에 그쳤습니다.

만족스럽지 않은 이유로는 '치료 효과가 좋지 않아서'(26.6%), '질병 진단을 신뢰할 수 없어서'(25.8%), '의료진(의사 및 간호사)에 대한 신뢰가 낮아서'(20.1%) 등이었습니다.

전체 응답자의 4명 중 1명가량인 24.7%는 동네 의원 이용 후 1개월 이내에 동일 질환으로 대학병원, 상급 종합병원 등 대형병원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동일 질환으로 대형병원에 간 이유로는 '보다 전문적인 검사·치료를 위해 동네의원에서 대형병원으로 의뢰'가 47.4%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보다 신뢰할 수 있는 검사 결과를 얻기 위해서 본인이 선택 또는 진료의뢰서 요청'(29.0%), '상급 종합병원 이용을 위해 동네의원에서 진료의뢰서만 발급'(12.6%), '최신 의료장비와 의료시설이 더 좋아서'(6.5%), '보장성 강화 정책으로 대형병원 진료비 부담이 낮아져서'(2.8%) 순이었습니다.

즉, 응답자의 8명 중 1명(12.6%)은 동네의원을 진료의뢰서 발급 통로로 활용했고, 2명 중 1명(50.8%)은 의사가 아니라 본인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대형병원으로 간 셈입니다.

동네의원을 이용할 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소는 '신뢰할만한 경력이 있는 의사나 전문의가 진료하는 것'(39.1%)이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건강상태에 대해 충분한 진료나 상담을 해주는 것'(22.9%), '지속적 진료를 통해 나의 건강상태를 잘 아는 주치의가 있는 것'(19.8%), '대형병원과의 협진 체계가 잘되어 있는 것'(10.8%) 순이었습니다.

보고서는 "동네 의원은 접근성, 의료비 수준, 상담의 충분성 등에서 중소·대형병원보다 좋은 평가를 받았으나 의료서비스의 질 만족도가 가장 낮다"며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과 신뢰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