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유방암 생존율 85% 육박…합병증·삶의 질 '빨간불'

유방암 생존율 85% 육박…합병증·삶의 질 '빨간불'
국내 유방암 환자의 10년 생존율이 85%에 달하면서 장기 생존자의 합병증, 삶의 질 등이 풀어야 할 숙제로 떠올랐습니다.

유방암 환자는 심부전 등 합병증 위험이 큰 데다 5명 중 1명은 불안장애, 우울증 등을 앓고 있습니다.

한국유방암학회는 국민건강보험공단과 함께 우리나라 유방암 현황과 생존자의 후기 합병증을 연구한 결과,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26일 밝혔습니다.

유방암학회에 따르면 2015년 한 해 동안 여성 유방암 신규 환자가 2만2천468명 발생해 2000년 대비 약 3.6배 이상 늘어났습니다.

여성 인구 10만명 당 유방암 환자 숫자는 88.1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유방암 환자가 많이 늘어난 데에는 건강검진이 활성화된 영향이 적지 않은 것으로 해석됩니다.

조기 유방암으로 분류할 수 있는 0기 또는 1기에 해당하는 환자가 2016년 기준 전체 유방암의 절반 이상인 59.6%를 차지했습니다.

유방암 조기 진단이 늘어나고 치료 방법이 발달하자 생존율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학회가 유방암 환자(2001~2012년 수술 환자) 10만9천988명을 대상으로 2014년까지 생존 및 사망 여부를 추적한 결과, 5년 전체생존율이 91.2%로 나타났습니다.

10년 전체생존율은 84.8%에 이르렀습니다.

조기 유방암인 0기나 1기인 환자의 생존율은 더 높았습니다.

0기 환자의 5년 생존율은 98.3%, 10년 생존율은 95.4%였습니다.

1기 환자도 5년 생존율이 96.6%, 10년 생존율이 92.7%에 달했습니다.

단 전신 전이가 있는 4기 환자의 생존율은 34%로 예후가 급격히 나빠졌습니다.

생존율이 높아진 데 따라 유방암 생존자의 합병증 관리와 삶의 질 유지에 더 큰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학회는 강조했습니다.

학회가 유방암 생존자 9만1천227명과 병을 앓지 않는 대조군(27만3천681명)을 비교한 결과, 유방암 생존자에서 심부전 발생 비율이 약 1.5배 더 높았습니다.

특히 유방암 환자는 나이와 관계없이 심부전 위험이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체 생존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50세 미만의 젊은 유방암 환자군은 대조군보다 심부전 위험이 2.9 배에 달했습니다.

유방암으로 인한 심리적 문제도 적지 않았습니다.

2007년에서 2014년까지 유방암으로 진단받은 환자(12만4천381명) 중 19.8%(2만4천587명)가 우울증이나 불안장애를 동반했습니다.

유방암 환자 5명 중 1명꼴입니다.

불안장애를 동반하는 일이 가장 흔했고(10.9%, 1만3천525명) 우울증과 불안장애를 동시에 겪는 환자도 2.6%(3천194명)였습니다.

우울증, 불안장애를 동반하면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치료 결과가 좋지 않으므로 주위에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정확히 진단, 치료하는 게 중요합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