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한국당 여의도연구원 "대통령 말·글에 경제는 없고 북한만"

자유한국당의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이 "문재인 대통령의 말과 글을 분석한 결과 북한 관련 단어가 가장 많았다"며 "경제는 없었고 북한만 있었다"고 비판했습니다.

여의도연구원은 2017년 5월 11일∼2018년 9월 11일 문 대통령의 공식연설문 267건과 청와대의 공식브리핑 1천186건 등 1천453건을 전수조사해 키워드 5천508개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오늘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습니다.

연구원에 따르면 '대통령'·'우리'·'정부' 등의 관용적인 표현을 제외하면 지난 16개월 동안 문 대통령 또는 청와대가 가장 많이 사용한 단어는 '평화'로, 모두 1천580차례 언급됐습니다.

이어 북한이 1천453건으로 2위였습니다.

연구원은 특히 상위 25개 키워드 가운데 '평화'·'북한'·'한반도' ·'정상회담'·'위원장' 등 남북관계 관련 단어가 5천795차례 등장해 전체의 20%를 차지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경제'의 연관어를 분석한 결과 '북한'·'평화'·'중국'이라는 단어가 '일자리'·'기업'·'투자'라는 단어보다 높은 연관도를 보였다며 문재인 정부가 경제 문제도 북한과의 관계 개선을 통해 해결하려고 한다고 연구원은 분석했습니다.

연구원은 '일자리'라는 단어는 총 528번 등장해 종합순위 73위에 올랐고, ▲ '중소기업'이 223건으로 256위 ▲ '소상공인'이 101건으로 688위 ▲ '자영업자'가 66건으로 1천41위 등 상대적으로 빈도가 낮게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연구원은 "소득주도성장으로 타격을 입은 주요 경제주체는 대통령의 관심에서 멀어져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밖에 '교육'은 206번 언급돼 키워드 순위 281위를 기록했고, '아이' 215건으로 267위 '학교'가 134건으로 492위 '학생'이 172건으로 365위로 나타났습니다.

국가별로는 ▲ 북한 1천453건 ▲ 중국 734건 ▲ 미국 688건 ▲ 러시아 525건 ▲ 인도 505건 등으로 집계됐습니다.

인물명을 보면 ▲ 문재인 대통령 2천505건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384건 ▲ 김정숙 여사 337건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228건 ▲ 아베 신조 일본 총리 152건 등이었습니다.

특히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이 6위,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 7위,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 9위,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 14위, 노무현 전 대통령이 15위로 순위에 올랐습니다.

이밖에 촛불혁명 71차례·세월호 78차례 ·적폐청산 38차례·국정농단은 21차례 주요 키워드로 검색됐습니다.

김선동 여의도연구원장은 "경제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지만, 문 대통령은 오로지 북한만 바라보고 있다"며 "일자리 정부를 표방했지만, 대통령의 말 속에는 일자리가 없었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