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경기 논란에 한은 기준금리 연 1.50%로 일단 동결

경기 논란에 한은 기준금리 연 1.50%로 일단 동결
경기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동결했습니다.

한은은 24일 이주열 총재 주재로 금통위 회의를 개최하고 기준금리를 연 1.50%로 유지했습니다.

작년 11월 6년 5개월 만에 금리를 인상한 이래 네 번째 동결 결정입니다.

이로써 한미 정책금리 역전은 계속됩니다.

다음 달 13일(현지시간)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예상대로 금리를 올리면 역전 폭은 0.50%p(포인트)로 확대됩니다.

이번 금통위 결과는 금융시장에서 예상한 바입니다.

당초에도 상반기 인상 기대는 크지 않았습니다.

지방선거가 한 달도 남지 않았다는 점도 5월 동결론의 배경이 됐습니다.

금융시장의 관심은 7월 인상 여부에 집중돼있습니다.

그동안 널리 퍼져있던 '5월 소수의견 등장, 7월 인상' 전망이 최근 국내외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며 흔들린 상태입니다.

특히 금통위를 일주일 앞둔 지난주 이 총재가 "대내외 여건이 만만치 않아 앞으로 경제 상황을 낙관하기 어렵다"고 진단하며 기대감이 급격히 약해졌습니다.

지금 한국 경제는 밖으로는 미 금리인상과 미·중 무역갈등에 따른 불확실성이 매우 큽니다.

일부 취약 신흥국들이 위태로운 모습이고 국제유가도 들썩이며 불안을 키우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고용 사정이 개선되기는 커녕 '늪'에 빠진 듯한 모습입니다.

3월엔 전산업생산이 2년여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고 제조업 가동률이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으로 하락했습니다.

물가상승률도 여전히 한은 목표치에 한참 미달합니다.

이 때문에 올해 3% 성장 전망이 유효한지를 두고 정부 인사들 사이에서도 논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김광두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은 최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경기는 오히려 침체 국면 초입 단계에 있다고 본다"고 주장했습니다.

반면 김동연 경제부총리는 이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최근 경제지표는 여러 가지 방향으로 볼 수 있는 시그널이 혼재돼있다"면서도 "현재로서는 올해 3% 경제성장 목표를 수정할 계획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금융시장에서는 하반기 한 차례 인상 전망이 다수 의견입니다.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금융불균형이나 한미 금리역전, 경기 하강 국면에 대비한 통화정책 여력 확보 필요성 등이 주 요인입니다.

이 총재도 이달 초 "3% 성장세를 유지하고 물가 상승률도 2%대에 수렴한다면 이걸(금리를) 그대로 끌고 갈 때 금융 불균형이 커진다"며 "금리를 올릴 수 있을 때 올려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