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트럼프 리스크' 외자 유출 우려 여전…통화스와프 연장은 '안갯속'

글로벌 금융시장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정책 자체가 불확실성으로 받아들여지는 모양새입니다.

아직은 현실화되지 않았지만 불안이 확산되면 외국인 투자자들이 신흥국에서 자금을 회수하면 한국 경제도 치명타를 입을 수 있어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당장 환율이 어디로 튈지 모른다는 점, 변동폭이 들쑥날쑥하다는 점도 당국의 고민을 키우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내건 재정지출 확대로 미국 경제가 호조를 보이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예상보다 빠르게 금리를 인상, 외국인 투자자금이 신흥국에서 빠져나가 미국으로 몰릴 수 있습니다.

아울러 보호무역주의 정책 강화로 미국과 교역 비중이 높은 신흥시장국 경제가 부정적인 영향을 받으면외국인자금 유출 폭은 더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일부에서는 한국 경제가 다른 신흥국보다도 외국인자금 유출에 더욱 취약하다는 분석도 내놓고 있습니다.

지난해 11월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BNP파리바가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대미수출 비중, 수출의존도, 국내총생산(GDP) 대비 총신용(총국가부채) 등을 기반으로 국가별 취약성지수를 산출한 결과 한국이 20개 신흥국 가운데 말레이시아, 헝가리 다음인 3위였습니다.

환율 역시 불확실성의 영역에 놓여있는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지난해 말 미국 금리 인상 이후 달러가 강세를 보이자 트럼프 대통령과 측근이 잇따라 달러 약세를 선호하는 듯한 발언을 내놓으면서 진화에 나섰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1일 "중국이 무슨 짓을 하는지, 일본이 수년간 무슨 짓을 해왔는지 보라"며 "이들 국가는 시장을 조작했고 우리는 얼간이처럼 이를 지켜보고 있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중장기적으로는 달러 강세가 될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합니다.

미 연준이 올해 추가로 금리를 올릴 것으로 전망되는데다 미국 경제 회복세가 빨라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여전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환율의 방향이 언제 바뀔지 모른다는 점, 변동 폭이 크다는 점 자체가 정부 정책 판단이나 기업 경영에 더욱 까다로운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트럼프발 금융불안이 과장됐다는 시각도 있습니다.

우려와 달리 외국인 주식자금은 지난해 11월 1조2천억원 빠져나갔으나 12월에는 1조7천억원 유입됐고 지난달에도 1조5천억원이 국내로 들어왔기 때문입니다.

작년 12월 말 기준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3천711억 달러로 세계 8위 수준이고 작년 경상수지도 986억8천만 달러(잠정치)로 2015년에 이어 사상 두 번째로 많아 대내외 기관에서도 한국 경제의 대외 건전성을 양호하다고 평가합니다.

그러나 아직도 트럼프 정부 정책이 베일에 싸여 있는 면이 많아 언제든 금융시장의 불안이 커질 수 있다는 점에서 금융시장 안전판을 강화해야 한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습니다.

이를 위해 정부는 미국의 움직임, 외환시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외환 위기 때 쓸 수 있는 통화스와프를 확대하겠다는 입장입니다.

현재 한국은 중국(3천600억 위안), 호주(50억 달러), 인도네시아(115조 루피아) 등과 양자 스와프를 맺고 있고 아랍에미리트(UAE·200억 디르함)와는 만기 후 연장협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호주, 인도네시아와의 통화스와프가 각각 2월, 3월로 만료되는 데다 10월 계약이 끝나는 중국과의 통화스와프도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결정에 따른 갈등으로 연장이 불확실합니다.

한·일 통화스와프는 지난해 8월 재개 논의를 벌였다가 부산 소녀상 설치를 두고 일본이 항의하며 중단된 상태입니다.

정부 관계자는 "통화 스와프는 상대방과 협상을 하는 것이다 보니 일방적으로 되는 것이 아니고 앞으로 상황은 불확실하다"면서도 "기본적으로 통화스와프는 지속해서 확대하자는 것이 정부 입장"이라고 설명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