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우리나라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전기·자율차, 에너지신산업, 차세대 반도체 등 12개 분야를 제시하고 이 분야 연구개발에 앞으로 5년간 민간과 함께 7조원 이상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정부 계획대로 산업 고도화가 이뤄지면 국내 산업에서 신산업의 비중은 2025년까지 두 배가량 더 확대되고, 관련 일자리는 38만개가 추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늘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4차 신산업 민관협의회를 개최하고 이같은 내용의 '4차 산업혁명 시대, 신산업 창출을 위한 정책과제'를 발표했습니다.
정부는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글로벌 산업환경 변화는 스마트화(Smart), 서비스화(Servitization), 친환경화(Sustainable), 플랫폼화(Platform) 등 4가지 메가트렌드(3S-1P)로 대표된다며 신속한 대응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미래 대한민국을 먹여 살릴 12대 신산업으로 전기·자율차, 스마트선박, 사물인터넷 가전, 로봇, 바이오헬스, 항공·드론, 프리미엄소비재, 에너지신산업, 첨단신소재,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차세대 디스플레이, 차세대 반도체를 제시했습니다.
회의를 주관한 주형환 산업부 장관은 "주요국보다 메가트렌드에 대한 대응 수준과 역량은 미흡하지만 세계적 수준의 정보기술 인프라와 제조기반, 경쟁력 있는 에너지산업 여건 등 우리가 보유한 강점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먀 "민관이 역량을 모아 신속하게 대응한다면 기회의 창은 열릴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12대 신산업 분야의 원천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향후 5년간 민관합동으로 7조원 이상의 R&D 자금을 투입할 방침입니다.
또 R&D 연구자 이력 관리제 도입, 경쟁 촉진, 해외 인력 유치 등의 지원 정책을 통해 R&D 관련 성과를 확실하게 끌어올리겠다는 복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