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진 취약 건물
부산시민 열 명 가운데 여덟 명이 현재 사는 집이 지진에 불안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발전시민재단은 부산시민들이 지역 주요 현안을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알아보고자 20대 이상의 성인 8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여 11일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설문지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오차한계는 95% 신뢰 수준에서 ±3.4%이다.
먼저 지진안전도를 묻는 질문에 부산시민 77.8%는 현재 사는 집이 지진에 불안(불안한 편 48.4%, 매우 불안 29.4%)하다고 응답했다.
안전하다는 응답(매우 안전 1.2%, 안전한 편 12.8%)은 14%에 불과했다.
부산 인근의 원자력발전소가 지진에 안전하다고 생각하느냐의 질문에 안전하다(매우 안전 0.5%, 안전한 편 7.3%)는 7.8%에 그친 반면, 불안하다(불안한 편 39.9%, 매우 불안 47.6%)는 응답은 87.5%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최근의 경주지진을 직접 체험한 부산시민들이 지진에 대한 공포와 함께 일본의 후쿠시마원전과 같은 사고로 이어질까 불안해하는 모습이다.
현재 추진하는 신고리 원전 5·6호기 추가건설을 두고도 같은 이유로 찬성(찬성 7.4%, 적극 찬성 1.6%)은 9.2%에 불과했고, 반대(반대 38.1%, 적극 반대 35.9%)가 74.0%로 크게 높았다.
부산시민의 식수원인 낙동강 녹조 발생의 원인과 관련해서는 부산시민들의 절반 이상인 50.9%가 '4대강 사업으로 인한 강물 흐름 정체'라고 응답했다.
다음으로 '여름 더위와 가뭄' 17.4%, '산업폐수의 유입' 16.2%, '농경지 및 가축분뇨, 생활하수 유입' 14.6% 등을 꼽았다.
수돗물을 마시는 방법을 묻는 질문에는 '별도의 정수장치를 거쳐서 사용한다'는 응답이 35.5%, '끓여서 마신다' 31.3%, '씻는 용도로만 사용한다' 26.3% 등으로 수돗물을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많았다.
수돗물을 '그냥 마신다'는 응답은 5.9%에 그쳤다.
최근 부산경제에 악영향을 미치는 한진해운 사태의 해결방안을 묻는 질문에는 '다른 기업에 합병' 44.5%, '회생' 40.1%, '파산처리' 11.2%, 기타 4.3%로 나타나 파산보다는 합병이나 회생 등으로 지역경제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답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