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자 인구가 유소년 인구에 육박할 정도로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지만 65세 이상 고령층 절반은 노후 준비를 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가계부채 상환, 자녀 뒷바라지 등으로 노후 준비를 할 여력이 없기 때문이라는 대답이 다수였습니다.
팍팍한 살림살이 때문에 고령층 60% 이상은 앞으로 더 일하고 싶다고 대답했습니다.
통계청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6년 고령자 통계'를 발표했습니다.
지난해 기준 65세 이상 인구는 656만9천명으로 10년 전인 2005년 436만5천명보다 220만4천명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0∼14세 유소년 인구는 898만6천명에서 690만7천명으로 감소해 고령자 인구와의 격차가 줄었습니다.
이에 따라 전체 인구 대비 고령자 비중은 9.3%에서 13.2%로 상승했고 유소년 비중은 19.1%에서 13.9%로 하락했습니다.
생산가능인구 15∼64세 100명당 65세 인구를 뜻하는 노년 부양비는 18.1명이었습니다.
고령자 가구는 지난해 11월 1일 기준 372만 가구로 집계돼 5가구 중 1가구는 고령자 가구인 셈입니다.
특히 혼자 사는 고령자 1인 가구는 122만3천 가구로 전체 가구의 6.4%에 달했습니다.
고령자 인구가 빠르게 늘면서 고령자의 결혼·이혼, 장례 등 삶 전반에 대한 인식도 달라지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65세 이상 고령자 중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한다'는 비율은 2006년 85.2%에서 2014년 77.6%로 줄었습니다.
이혼엔 관대해져 '이유가 있으면 하는 것이 좋다'는 의견은 같은 기간 4.2%에서 7.7%로 소폭 상승했습니다.
고령자 재혼은 늘어나는 추셉니다.
지난해 재혼 건수 중 남성이 65세 이상인 경우는 2천672건, 여성은 1천69건으로 8.3%, 18.5% 각각 증가했습니다.
노후를 준비하는 고령자 비율은 계속해서 증가해 2005년 34.7%에서 지난해 46.9%로 확대됐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절반 이상은 노후 준비를 별도로 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습니다.
특히 노후 준비 능력이 없다'는 응답률은 43.2%에서 56.3%로 오히려 증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