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재외동포에 대한 인식은 양면적"…한민족 vs 외국인

고려대 윤인진 교수팀, 재외한인학회 학술대회서 발표

한국인은 평소엔 재외동포를 한민족으로 인식하지만 현실적인 갈등이 생기면 이들을 외국인 이주자처럼 대하는 양면적 사고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고려대 윤인진 교수팀은 19일 재외한인학회 연례 학술대회에서 '재외동포에 대한 국민인식: 민족의식, 다문화 수용성, 접촉 경험의 효과'란 제목의 논문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에 따르면 한국인은 재외동포에 대해 한민족이라는 혈통 중심적 인식을 하다가도 현실 세계에서 갈등이나 문제가 일어나면 이들을 다문화 집단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팀은 지난해 재외동포재단이 8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3년도 재외동포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결과를 토대로 재외동포에 대한 인식에 이론적·현실적 차이가 있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한국인이 재외동포에 대해 친밀감을 느끼는 기준으로는 '다문화 수용성'보다 '한민족 의식'이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소에는 재외동포를 다문화 집단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피상적으로나마 한민족으로 인식한다는 뜻이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재외동포를 바라보는 시선이 사뭇 달라졌다.

재외동포가 결혼이나 취업을 이유로 한국에 장기 체류하거나 정착할 경우 한국인은 이들에 대해 '한민족 의식'이 아닌 '다문화 수용성'을 기준으로 허용 여부를 판단했다.

즉 일상생활에서 재외동포와 더불어 살아가며 부딪히는 상황에 닥치면 이들을 외국인 이주자와 다를 바 없는 다문화 집단으로 인식한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재외동포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에는 평소 단일민족이라는 이상적인 사고가 우선 작동하다가도 현실적인 갈등과 문제를 마주하게 되면 다문화 사회의 일원으로서 공존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을 찾는 이중성이 깔려 있다"고 풀이했다.

연구팀은 "이로 인해 조선족 동포와 고려인 동포가 쉽게 무시당하고 소외된다"면서 "이들과 건강하고 생산적 관계를 회복하려면 더 이상 한민족 의식만을 강조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이들의 문화 다양성과 인권을 존중하고, 동화보다는 공존을 추구해야 한다"면서 "민족주의에 기반을 둔 재외동포 정책 대신 다문화주의에 기반을 둔 정책을 개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날 서울 중구 배재학당 역사박물관에서 열린 학술대회에서는 '통일과 재외동포'를 주제로 논문 발표와 토론 등이 이어졌다.

이진영 인하대 교수와 김판준 길림사범대 교수는 '통일 준비과정과 재외동포'란 논문에서 재외동포가 통일 공공외교의 중요한 행위자가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들은 그 근거로 재외동포 경제단체의 광역두만강개발계획(GTI) 참여 확대, 재외동포의 대북 교류 역할 증대 등을 꼽고 "통일 준비의 외연을 재외동포들까지 넓히고 이들을 네트워크로 만들어 통일 준비 역할을 부여하는 적극적인 방안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이밖에 이애리아 일본 와세다대 교수는 '연해주의 다문화 다국적 코리안'을 주제로 현지 북한 노동자들의 상황을 소개하고, 이창호 협성대 교수는 러시아 연해주 지역의 북한 노동자 인권과 이주 실태를 알렸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