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회복세 꺾인 영화관…작년 관객 수 2% 감소

회복세 꺾인 영화관…작년 관객 수 2% 감소
지난해 영화관을 찾은 관객 수가 1억2천여만 명으로 전년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해외영화 약세와 여름 성수기 대작의 부재가 영향을 미친 가운데, 한국 영화는 관객 수가 늘며 선전했습니다.

16일 영화진흥위원회가 발표한 영화산업 결산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12월 영화관 누적 관객 수는 1억2천313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201만 명) 감소했습니다.

극장 관객 수는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에서 벗어나며 2020년 5천952만 명, 2021년 6천53만 명에서 2022년 1억1천281만 명, 2023년 1억2천514만 명으로 회복세를 보여왔습니다.

지난해 관객 수가 2020년 이후 4년 만에 감소한 데에는 여름 성수기 히트작의 부재, 외화의 약세 등이 영향을 미쳤다는 게 영진위 분석이다.

작년 8월 관객 수는 1천178만 명으로 전년 같은 달(1천456만 명)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회복세가 꺾이면서 지난해 관객 수는 팬데믹 이전인 2017∼2019년 연평균 관객 수(2억2천98만 명)의 55.7%에 그쳤습니다.

지난해 매출액은 1조1천945억 원으로 전년보다 5.3%(669억 원) 줄어 관객 수보다 감소 폭이 더 컸습니다.

대형 외화의 부재로 상대적으로 티켓값이 비싼 아이맥스 등 특수상영이 줄어든 점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한국 영화는 선전했습니다.

지난해 한국 영화 관객 수는 7천147만 명으로 전년보다 17.6%(1천72만 명) 증가했다.

팬데믹 이전인 2017∼2019년 관객 수(1억1천323만 명)와 비교하면 63.1% 수준입니다.

전체 관객 수에 대한 한국 영화 점유율은 58.0%로 전년보다 9.5%포인트(p) 뛰었습니다.

'파묘', '범죄도시 4' 등 두 편의 '천만 영화'가 흥행을 이끈 가운데 '파일럿', '베테랑 2'도 선전하면서 관객들을 불러 모았습니다.

지난해 흥행 상위 10위에 든 한국 영화는 '파묘'(1천191만 명), '범죄도시 4'(1천150만 명) 등 7편이었습니다.

외화 중에서는 '인사이드 아웃 2'가 880만 명으로 가장 많은 관객을 동원했습니다.

지난해 독립·예술영화 중 가장 많은 관객이 관람한 영화도 '건국전쟁'으로 한국 영화였습니다.

이승만 전 대통령에 대한 다큐멘터리인 '건국전쟁'은 117만 명이 관람했습니다.

작년 한국 영화의 누적 매출액은 6천910억 원으로 전년보다 15.5%(925억 원) 증가했습니다.

지난달 관객 수는 1천300만 명으로 월별 기준으로 작년 한 해 중 최다였습니다.

매출액도 1천245억 원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다만 전년 같은 달과 비교했을 때 관객 수는 22.1%(370만 명), 매출액은 24.2%(398억 원) 적은 수준이었습니다.

한국 영화 관객 수는 750만 명, 매출액은 718억 원이었습니다.

'소방관'과 하얼빈'이 12월 전체 상영작 중 흥행 1위와 2위를 각각 차지하며 관객을 불러 모았습니다.

'히든페이스'는 지난달까지 누적 관객 수 101만 명을 기록하며 '타짜: 원 아이드 잭'(2019) 이후 5년 만에 100만 명을 돌파한 '청소년 관람 불가' 등급의 한국 영화가 됐습니다.

지난달 독립·예술영화 흥행 1위는 15만여 명을 모은 '서브스턴스'였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