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강남구 "출생아 증가율 2년째 1위"…저출생 대책 박차

강남구 "출생아 증가율 2년째 1위"…저출생 대책 박차
▲ 지난해 10월 14일 조성명 구청장이 육아아빠와 함께한 주민소통회

서울 강남구(구청장 조성명)는 구의 지난해 출생아 증가율이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가장 높은 14.43%를 기록하며 2년 연속 증가율 1위를 나타냈다고 오늘(13일) 밝혔습니다.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24년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2024년 강남구 출생아는 2천689명으로 전년(2천350명)보다 339명 늘었다는 것입니다.

이번 증가율은 전국 평균(3.10%)의 5배에 육박하고 서울 평균(4.76%)의 3배가 넘는 수준입니다.

구 관계자는 "강남구는 2023년 서울시에서 유일하게 출생아 수가 증가(증가율 13.53%)한 자치구"라며 "민선 8기에 출산·양육 지원 정책을 강화한 것이 실질적 효과를 내고 있다고 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대표적으로 첫째 아이 출산 때 출산양육지원금(200만 원)의 신청 건수는 전년보다 26.8%, 산후건강관리비용 사업(최대 100만 원) 신청도 35% 늘었습니다.

난임 시술 지원도 소득 기준을 폐지하자 신청자가 52.4% 증가했고, 임신 성공률도 2.7% 상승했다고 구는 전했습니다.

구는 이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 출산 지원사업에 964억 원을 들입니다.

우선 9개의 출산 지원사업에 844억 원을 투입합니다.

이를 통해 강남구에서 첫째 아이를 낳으면 첫 달 기준 790만 원을 받게 된다고 구는 설명했습니다.

구체적으로 보면 강남구 특화 사업인 출산양육지원금(200만 원)과 산후건강관리비용(최대 100만 원)을 통해 총 300만 원을 지원합니다.

정부 지원사업인 ▲ 첫만남 이용권(200만 원, 바우처) ▲ 부모급여(월 100만 원) ▲ 아동수당(월 10만 원)과 서울시 지원사업인 ▲ 임산부교통비(70만 원, 바우처) ▲ 서울시 산후조리경비(100만 원, 바우처) ▲ 서울 엄마아빠택시(연 10만 원, 바우처) 등도 지원됩니다.

아울러 구는 임산부와 아이의 건강관리를 돕는 27개 모자보건사업에 120억 원을 투입합니다.

특히 올해에는 임신 준비와 출산 후 서비스 이용의 편의성을 높이고 난임 지원을 확대했습니다.

(사진=강남구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