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가 소유한 집값의 격차가 최대 40배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비싼 집을 가진 가구는 소유한 주택 수도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나 대한민국 사회의 자산 불평등을 보여주고 있다는 해석이 나옵니다.
통계청은 18일 이런 내용을 담은 '행정자료를 활용한 2023년 주택소유 통계'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통계는 건축물대장, 주택공시 가격, 재산세 자료 등 주택 관련 행정자료와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활용해 작성됐습니다.
지난해 주택을 소유한 가구의 평균 주택 자산가액(공시가격 기준)은 3억 2천100만 원으로 전년(3억 1천500만 원)보다 상승했습니다.
가구당 평균 소유 주택 수는 1.35채, 평균 면적은 86.6㎡였습니다.
주택을 소유한 평균 가구주 연령은 57.3세, 평균 가구원 수는 2.55명이었습니다.
자산가액 기준 상위 10% 가구의 평균 주택 가액은 12억 5천500만 원으로 하위 10% 평균 주택 자산 가액(3천100만 원)의 40.5배 수준이었습니다.
상위 10% 가구의 평균 주택 자산가액은 전년(12억 1천600만 원)보다 약 4천만 원, 하위 10%는 전년(3천만 원)보다 100만 원 증가했습니다.
상위 10% 가구의 평균 소유주택 수는 2.37채로 하위 10%(0.98채)보다 약 2.4배 많았습니다.
비싼 집을 가진 가구일수록 소유 주택 수도 더 많은 셈입니다.
한국 사회의 자산 양극화를 엿볼 수 있는 대목입니다.
2022년 11월 1일 기준으로 소유한 주택이 없었다가 1년 뒤 소유자가 된 사람은 71만 9천 명이었습니다.
반대로 같은 기간 주택 소유자에서 무주택자가 된 사람은 30만 6천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같은 기간 소유 주택이 늘어난 사람은 102만 6천 명이었고 이중 대다수인 98만 1천 명이 집을 1채 더 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택 소유 건수가 감소한 사람은 55만 6천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 가구가 소유한 주택은 1천675만 9천 채로 전년(1천644만 8천 채)보다 31만 2천 채 늘었습니다.
가구의 주택 소유율은 56.4%였습니다.
주택 소유율은 상대적으로 1인가구(31.3%), 비친족가구(42.3%), 한부모·미혼자녀 가구(53.9%) 등이 평균 보다 낮게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 개인이 소유한 주택은 1천674만 2천 채로 전년(1천643만 3천 채)보다 31만 1천 채 늘었습니다.
주택 소유자는 전년(1천530만 9천 명)보다 30만 9천 명 늘어난 1천561만 8천 명이었습니다.
1인당 평균 소유 주택 수는 1.07채로 전년과 같았습니다.
연령대별로 보면 50대가 393만 8천 명(25.2%)으로 가장 많았고 60대(22.8%), 40대(21.2%), 70대(12.0%) 등 순이었습니다.
전년과 비교해 40대 이하에서는 주택 소유자가 줄고 50대 이상에서는 증가하는 현상이 2년째 계속됐습니다.
특히 30세 미만(-8.2%)에서 감소 폭이, 80세 이상(8.8%)에서 증가 폭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고금리 탓에 상대적으로 젊은 층의 주택 소유가 줄면서 주택 시장이 고령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주택 1채만 소유한 사람은 1천327만 9천 명(85.0%)으로 대다수를 차지했고 2채 이상 소유한 다주택자는 233만 9천 명(15.0%)으로 집계됐습니다.
여성의 다주택자 비율은 15.0%로 전년보다 0.2%포인트(p) 상승하며 남성(15.0%)과 같아졌습니다.
개인 소유 주택 1천674만 2천채 중 단독 소유 주택은 1천449만 6천 채(86.6%)였고 나머지(13.4%)는 공동 소유였습니다.
전년과 비교하면 공동 소유 비중이 0.1%p 상승했습니다.
개인 소유 주택 중 주택 소재지와 같은 시·도 내 거주자(관내인)가 주택을 소유한 비중은 86.3%로 전년보다 0.1%p 감소했습니다.
그만큼 외지인의 주택 소유 비중이 상대적으로 커졌다는 의미입니다.
관내인 주택 소유 비중은 울산(91.1%), 전북(89.6%) 등에서, 외지인 소유 비중은 세종(30.5%), 충남(17.6%) 등에서 높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