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9·19 남북군사합의 전체 조항의 효력을 정지했습니다. 합의 6년 만에 휴짓조각이 된 겁니다. 북한의 오물 풍선 공세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육상·해상·공중의 접경지역에서 포사격과 같은 군사훈련이 재개되는데요, 북한이 무서워한다는 확성기 방송은 "북한 상황에 따라" 재개하기로 했습니다. 더 강력한 대응이 필요할 때를 위해 남겨둔 것으로 보이는데요, 확성기 방송이 포 사격 훈련보다 북한을 흔드는 데 더 위력적이기 때문입니다.
9·19 군사합의 효력 완전 정지
한덕수 국무총리는 국무회의 모두 발언에서 "그동안 제약받아온 군사분계선(MDL) 일대의 군사훈련이 가능해지고, 북한의 도발에 대한 우리의 보다 충분하고 즉각적인 조치를 가능하게 해 줄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우리 법이 규정하는 절차에 따른 합법적인 것이며, 그동안 '9.19 군사합의'에 의해 제약받아 온 군사분계선 일대의 군사훈련이 가능해지고, 북한의 도발에 대한 우리의 보다 충분하고 즉각적인 조치를 가능하게 해 줄 것입니다.
북한의 파기 선언으로 9·19 군사합의가 사실상 유명무실해진 상황에서 우리 군의 군사 대비 태세를 정상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오늘(4일)부터 9·19 군사합의 효력이 완전히 사라지고, 우리 군도 북한의 적대행위에 상응하는 군사행동에 나설 수 있게 된 겁니다.
9·19 군사합의 효력 전면 정지를 결정하게 된 계기는 북한의 오물 풍선 공세였습니다. 북한이 더 이상 날리지 않겠다고 발표했지만, 정부는 남북 간 신뢰가 회복될 때까지 9·19 군사합의 효력을 정지하겠다며 원칙적 대응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9·19 군사합의는 2018년 9월 19일 문재인 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간 회담에서 채택한 '9월 평양공동선언'의 부속 합의입니다.
북한은 그간 9·19 군사합의를 위반하고 도발을 지속해 왔으며, 지난해 11월에는 일방적으로 합의 전면 파기를 선언했습니다. 같은 달 우리 정부도 9·19 군사합의 효력을 일부 정지했다가, 오늘(4일) 전면 정지로 대응 수위를 올렸습니다.
포 사격 훈련 재개, 확성기 방송은 '나중에'
이러한 조치는 그동안 9.19 군사합의에 의해 제약받아 온 군사분계선, 서북 도서 일대에서 우리 군의 모든 군사 활동을 정상적으로 복원하는 것입니다. (조창래 국방부 국방정책실장)
군 당국은 육상·해상·공중 완충구역(적대행위 금지구역)에서 포사격 등 군사훈련을 재개하기로 했습니다. 군사분계선(MDL) 5㎞ 이내에는 군 사격장이 3곳 있습니다.
서북도서에 배치된 해병대의 경우 9·19 합의가 유지되던 중에는 K-9 자주포 사격 훈련을 위해 육상으로 자주포를 이동시켜 훈련해야 했는데, 이제는 그럴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위력적인 심리전 도구로 꼽히는 대북 확성기 방송 역시 재개할 수 있게 됐습니다. 9·19 군사합의 서문에 '상대방에 대한 일체의 적대행위 전면 중지'가 규정돼 있는데, 이 규정도 무력화한 겁니다.
하지만 정부와 군 당국이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는 향후 북한의 추가 도발 시 쓸 수 있는 카드로 남겨뒀습니다. 국방부 당국자는 "대북 확성기 방송은 상황에 따라 언제든지 시행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다"면서도 "북한의 어떤 (추가도발) 상황에 따라 시행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군사훈련은 즉각 실시하지만, 대북 확성기 방송은 북한이 추가 도발에 나서면 시행한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접경지 주민들은 앞으로 있을 상황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고 합니다.
확성기 방송 위력은?
확성기 방송은 전력망이 갖춰진 접경지역이라면 어느 곳에서도 시행할 수 있는데요, 고정 시설뿐 아니라 차량에 탑재된 이동식 시설도 있어서 목표지역을 골라 심리적으로 공략할 수 있습니다.
고정식 확성기 방송은 출력을 최대로 높이면 야간에 약 24km, 주간에는 10여km 떨어진 곳에서도 들을 수 있다고 합니다. 확성기에서 나오는 노래와 뉴스, 날씨와 같은 정보는 북한군 MZ세대 병사들을 심리적으로 동요시킬 수 있는 수단인 겁니다.
예를 들어 "인민군 여러분, 내일 빨래하지 마세요", "오늘 오후에 비가 올 것 같으니 빨래 걷으세요"라고 하면 실제로 북한군이 이런 예보에 맞춰 행동했다고 합니다. 북한 젊은이들이 좋아하는 한국의 대중가요가 빠르게 파급될 수도 있습니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