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문재인 대통령은 어제(30일) "공직자들은 소속 부처나 집단의 이익이 아니라 공동체의 이익을 받들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윤석열 총장 직무배제에 반발하는 검사들을 겨냥한 발언이란 해석이 나왔습니다.
김정윤 기자입니다.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청와대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공직자의 자세' 얘기를 꺼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공직자들의 마음가짐부터 더욱 가다듬어야 할 때입니다. 소속 부처나 집단의 이익이 아니라 공동체의 이익을 받드는 선공후사(先公後私)의 자세로….]
그러면서 '권력 기관 개혁' 등은 "미래로 도약하려는 변화와 혁신의 노력"이라며, "혼란스럽게 보이지만 대한민국은 옳은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진통이 따르고 어려움을 겪더라도 개혁과 혁신으로 낡은 것과 과감히 결별하고 변화하려는 의지를 가질 때 새로운 미래가 열릴 것입니다.]
청와대 관계자는 "모든 공직자의 모든 국정에 대한 원칙적인 얘기"라고 설명했지만, 윤석열 검찰총장 직무배제와 징계 추진에 반발하는 검찰을 겨냥한 발언이란 해석이 쏟아졌습니다.
실제 청와대 한 참모는 "검찰의 조직적 저항이 생각보다 심각한 상황이어서, 검찰에 '경고'한 것"이라고 전하기도 했습니다.
'개혁 대 반개혁', '미래 대 과거' 프레임으로 현 상황을 규정하고, 지지층을 결집하려는 의도도 담겼다는 겁니다.
현 사태에 대한 대통령의 직접적인 언급이나 결정은 내일 법무부 징계위 이후 나올 걸로 보입니다.
국민의힘은 "문 대통령의 메시지는 검찰을 향해 정권 앞에 굴복하고 '백기투항하라'는 종용이었다"고 비난했습니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