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한 친구는 뇌파까지도 비슷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됩니다.
최근 뉴욕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학(UCLA)의 인지 과학자 캐롤린 파킨슨 박사 연구팀은 실험 대상자들에게 다양한 주제의 짧은 비디오를 보여준 결과, 친한 친구들은 놀라울 정도로 유사한 반응을 보이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특정 비디오에 관심을 기울이거나 산만해지는 정도가 비슷하고, 보상심리가 절정에 달하거나 따분해 하는 분야가 똑같았다는 것입니다.
신경반응 패턴이 친구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확연히 달라 뇌파만 갖고도 친분 정도를 예측할 수 있을 정도였다고 합니다.
파킨슨 박사 연구팀은 한 대학 졸업생 279명 전원을 대상으로 먼저 설문조사를 해 친분을 분석했습니다.
음식을 같이 먹었는지, 영화를 보러 같이 가봤는지, 서로 집에 초대했는지 등에 대한 답변을 받아 친분 정도를 구분했습니다.
이중 뇌파 검사에 동의한 42명을 대상으로 다양한 길이의 비디오를 보여주면서 fMRI(기능 자기공명영상) 장치로 뇌의 혈류를 측정했습니다.
실험 상황은 다른 사람이 리모컨으로 채널을 이리저리 돌리는 것을 보는 것과 유사한 것으로 실험대상의 관심사와 일상을 측정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그 결과, 신경 활동을 나타내는 혈류 패턴과 친분 정도에 강한 일치성이 발견됐으며, 종교나 인종, 소득수준 등 신경반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를 조정했을 때도 같은 결과가 나왔습니다.
파킨슨 박사는 "이번 연구결과는 친구 사이에는 관심사나 주변사에 대해 대응하는 것이 유사하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이라면서 "연구결과는 당초 생각했던 것보다 설득력이 높다"고 말했습니다.
파킨슨 박사 연구팀은 특히 뇌의 보상행동 처리에 핵이 되는 전뇌 기저부의 아쿰벤스 핵과, 외부환경에 어느 정도 주의를 기울일 것인지를 결정하는 상두정소엽에서 친구 사이의 혈류패턴이 일치하는 것으로 밝혀냈습니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컴퓨터 알고리즘을 마련해 신경반응 패턴의 유사성만 갖고도 두 사람이 어느 정도 친분을 맺고 있는지를 우연 이상의 확률로 예측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앞으로 서로를 잘 알지 못하는 신입생을 대상으로 뇌파를 측정해 비슷한 뇌파를 가진 학생들이 나중에 어느 정도 친분을 형성하는지도 연구할 계획으로 전해졌습니다.
닭이 먼저인지 달걀이 먼저인지 규명하겠다는 것입니다.
(사진=픽사베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