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황금알 거위'에서 '빈깡통' 전락…골프장 운영난 '허덕'

1990년대 후반 개장한 A 골프장은 서울 등 수도권을 오가는 셔틀버스를 운행할 정도로 충북을 대표하는 골프장으로 손꼽혀왔다.

그러나 전국적으로 골프장이 우후죽순으로 생겨나면서 경영난에 직면했다.

골프장 측은 더는 자금난을 감당할 수 없어 지난해 법원에 법정관리(회생)를 신청했다.

골프장을 정상적으로 운영할 수 없다고 판단해 '백기'를 든 것이다.

한때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불렸던 골프장들이 경영난에 시달리는 '빈 깡통' 신세로 전락했다.

충북에서 A 골프장처럼 회생 절차를 밟고 있거나 회생 인가를 받은 골프장이 7곳에 달한다.

이들은 모두 회원제 골프장이다.

충북에는 36곳의 골프장이 있고, 이 가운데 지난해까지 회원제로 운영된 골프장은 13곳이다.

회원제 골프장 2곳 가운데 1곳이 정상적으로 운영할 수 없는 상황인 셈이다.

2∼3곳의 골프장이 추가로 회생 신청 등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전국적으로도 법정관리를 받고 있거나 관련 절차를 밟고 있는 골프장이 60여 곳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때 선망의 대상이었던 골프장들이 경영에 어려움을 겪는 가장 큰 이유는 최근 10여 년간 골프장이 급격히 늘었기 때문이다.

2006년까지 전국적으로 250곳이었던 골프장은 지난해 말 2배에 육박하는 486곳으로 늘었다.

특히 회원권을 판매해 건설 비용을 마련한 회원제 골프장은 그린피 등 이용료가 대중제보다 비싸고 세금도 더 많이 부과된다.

이 때문에 회원제 골프장은 대중제 골프장보다 상대적으로 이용객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 대중제 골프장이 많이 생기면서 '부킹'하기가 수월했던 회원권의 장점도 줄어들면서 인기가 시들해졌다.

이런 탓에 입회금 반납을 요구하는 회원들이 늘면서 회원제 골프장 경영 압박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자산보다 금융권이나 회원 입회금 등 부채가 더 많은 이른바 '빈 깡통' 골프장도 계속 생겨나고 있다.

골프장들이 법정관리 절차에 들어가면서 회원들과 적지 않은 갈등도 빚는다.

많은 돈을 들여 구입한 회원권의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회생 절차에 들어간 일부 골프장들은 회원들에게 입회금의 10% 수준만 반환하는 사례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억원을 주고 회원권을 구입한 회원이 되돌려 받을 수 있는 금액이 겨우 1천만원이라는 의미다.

골프장이 한때는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세 확보의 효자 노릇을 했으나 최근에는 지방세 체납액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충북의 한 골프장은 재산세 등 무려 63억원의 지방세를 체납했다.

충북의 골프장 세금 체납액은 2012년까지 5억원에 불과했으나 2013년 40억원으로 늘었다.

2014년에는 110억원, 지난해 180억원까지 치솟기도 했다.

충북도의 한 관계자는 "한때는 일선 시·군들이 연간 15억원의 지방세를 내는 회원제 골프장 유치를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였으나 지금은 고액 세금 체납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