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심정지환자 살려낸 '하트세이버' 지난해 224명

생사의 기로에 놓인 심정지 환자에게 심폐소생술(CPR)을 시행, 소중한 생명을 구한 일반인 '하트세이버'가 지난해 220여 명 배출됐습니다.

국민안전처는 구급차가 도착하기 전까지 심폐소생술을 시행해 심장정지환자를 살리는 데 기여한 일반 시민 224명에게 지난해 '하트세이버 상'을 수여했다고 밝혔습니다.

전년도 161명에 견줘 39%가 늘었습니다.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8.7%포인트 높아져 41.8%를 기록했습니다.

제주(52.1%), 서울(51.8%), 광주(49.5%)는 일반인 목격자의 시행률이 절반에 달했습니다.

허석곤 안전처 119구급과장은 "신고를 접수하는 순간 신고자를 통해 환자의 의식·호흡 유무를 확인하고 심정지가 의심되면 신고자가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도록 구급상황관리를 강화한 결과 심폐소생술 실천율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자평했습니다.

심폐소생술에 대한 인식도가 높아진 효과 덕분인지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지난해 119가 출동한 심정지 환자 3만309명 가운데 응급처치를 받아 병원에 도착하기 전 자발순환(맥박이 감지되는 상태)을 회복한 환자의 비율은 1년 전보다 0.8%포인트 늘어난 5.3%로 집계됐습니다.

회복률 역시 심폐소생술 시행률이 높은 광주(7.3%)와 서울(6.8%)은 전국 평균 소생률을 훨씬 앞섰고, 제주(5.5%)도 평균을 웃돌았습니다.

질병관리본부의 국가심장정지조사 결과를 보면 국내 심정지 환자의 퇴원생존율은 지난 2010년 3.3%에서 2013년 4.9%로 꾸준히 상승했습니다.

그러나 미국 시애틀(11.7%)이나 스웨덴(7.8%)과 비교하면 여전히 '살릴 수 있는' 심정지 환자 다수가 초동대처를 놓쳐 안타깝게 목숨을 잃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우리나라도 목격자가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경우 이 비율이 13.7%(2013년)로 뛰었습니다.

심정지가 발생하면 뇌에 산소 공급이 차단, 4분이 지나면서부터 급격한 뇌손상을 일으킵니다.

허석곤 과장은 "심정지 환자 회복률을 높이려면 119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목격자의 심폐소생술 실천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안전처는 이에 따라 심폐소생술 실천율을 높이기 위해 일반 시민 대상 교육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아울러 의사가 스마트 기기로 현장 구급대원의 전문 응급처치를 지도하는 '스마트 의료지도 시범사업'을 활성화할 계획입니다.

(SBS 뉴미디어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