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비상계엄 당시 국회에 출동했던 이진우 전 수방사령관이 오늘(20일) 법원에서 "국회 문을 부수고 끄집어내라"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지시가 있었다고 진술했습니다. 그동안 증언을 피해왔던 이 전 사령관 마저 법정에서 이런 내용을 인정한 겁니다.
안정식 기자입니다.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공소장에는 윤 전 대통령이 이진우 전 수방사령관에게 "4명이 1명씩 들쳐 업고 나오라고 해라", "총을 쏴서라도 문을 부수고 들어가서 의원들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했다고 적시돼 있습니다.
하지만, 그동안 이 전 사령관은 윤 전 대통령과의 통화 내용을 함구해 왔습니다.
[이진우/전 수방사령관 (지난 2월) : 엄중하고 중요한 상황인 것은 제가 알지만 말씀드리는 것이 상당히 제한되는 것을 양해드립니다.]
오늘 서울 군사법원에서 열린 내란 혐의자들에 대한 공판에서 증인으로 출석한 이진우 전 사령관은 처음으로 윤 전 대통령 공소장의 해당 내용을 인정했습니다.
계엄 당일인 지난해 12월 3일, 밤 11시 30분부터 다음날 계엄해제 의결 전까지 윤 전 대통령의 전화를 3번 받았고, 첫 번째 전화의 지시가 "국회 본회의장 가서 4명이 1명씩 끌어내라"였다는 겁니다.
다만, 끌어낼 대상은 의원이 아니라 국회에 무단 침입한 사람이라고 생각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세 번째 통화에서는 윤 전 대통령이 '문을 부수고 끄집어내라'고 지시했고, 머리 속이 하얘졌다"고 이 전 사령관은 증언했습니다.
이 전 사령관의 부관, 오상배 대위도 지난 12일, 서울중앙지법에 출석해 윤 전 대통령과 이 전 사령관의 통화를 옆에서 들었다며 같은 취지의 증언을 했습니다.
윤 전 대통령 측은 오 대위가 윤 전 대통령과 직접 통화한 적이 없다고 신빙성이 없다고 주장했지만, 오늘 이 전 사령관의 증언으로 윤 전 대통령 측의 반박 논리는 힘을 잃을 전망입니다.
(영상편집 : 김윤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