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선 Pick
펼쳐보기

체포 시 대화방에 '하트'…삼성전자 기술 유출 전 연구원 기소

체포 시 대화방에 '하트'…삼성전자 기술 유출 전 연구원 기소
핵심 반도체 기술을 중국에 유출한 혐의를 받는 전직 삼성전자 연구원이 구속 상태로 재판에 넘겨졌습니다.

서울중앙지검 정보기술범죄수사부(안동건 부장검사)는 삼성전자에서 중국 CXMT(창신메모리반도체테크놀로지)로 이직한 전직 연구원 55살 전 모 씨를 산업기술보호법상 국가 핵심기술 국외 유출 등 혐의로 오늘(2일) 구속기소했다고 밝혔습니다.

전 씨는 삼성전자가 약 1조 6천억 원을 들여 개발한 D램 공정 국가 핵심기술을 부정하게 취득하고 사용한 혐의를 받습니다.

전 씨는 삼성전자 부장 출신으로 앞서 구속기소된 김 모 씨와 함께 CXMT로 이직하면서, 삼성전자의 기술을 빼돌리고 핵심 인력을 영입하는 방식의 CXMT 내 D램 반도체 개발 계획을 수립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들은 범행이 들통나 출국금지 되거나 체포되면 단체 대화방에 암호를 남기거나, 다른 회사로 이직하는 것처럼 위장하는 등 수사에 대비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암호는 대화방에 이모티콘 하트 4개(♡♡♡♡)를 남기기로 사전에 협의한 점도 검찰 조사에서 드러났습니다.

중국에 전혀 다른 업종의 허위 회사를 만들고, 그 회사로 이직하는 것처럼 외관을 꾸민 뒤 실제 근무는 CXMT에서 했다는 게 검찰 측 설명입니다.

CXMT는 중국 지방정부가 2조 6천억 원을 투자해 설립한 중국 최초의 D램 반도체 회사입니다.

전 씨는 CXMT로부터 계약 인센티브 3억 원, 스톡옵션 3억 원 등을 포함해 6년간 29억 원을 받았습니다.

전 씨와 함께 범행한 김 씨는 지난해 1월 구속기소 돼 1심에서 징역 7년과 벌금 2억 원을 선고받았습니다.

검찰은 삼성전자 내부 자료를 유출한 공범을 국제형사경찰기구, 인터폴을 통해 계속 추적 중입니다.

검찰은 "이 사건 유출로 인한 삼성전자의 지난해 추정 매출감소액만 수조 원에 달하고, 향후 최소 수십조 원의 손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기업과 국가 경제를 위협하는 기술 유출 범죄에 엄정하게 대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