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산불로 삶의 터전을 잃은 사람들을 돕기 위한 기부의 손길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기부금이 일부만 이재민들에게 전달되고 나머지는 기부 단체의 운영비로 쓰이는 것 아니냐는 주장이 나오고 있는데요. 팩트 체크 사실은 코너에서 따져봤습니다.
안상우 기자입니다.
<기자>
산불 피해복구 성금과 관련된 SNS 글들입니다.
"산불 피해 이재민에게 전달되지 않을 것 같아 기부를 못 하겠다", "기부금을 누가 빼돌리는 거냐"는 글들이 꽤 많이 올라옵니다.
"1만 원 기부하면 9천 원은 기부단체 인건비로 빠져나간다"는 주장까지 있습니다.
과연 사실일까.
이번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해 대표적인 기부단체 3곳에 지금까지 모인 기부금은 1천3억 원.
현행법에 따르면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한 기부금은 반드시 그 용도로만 쓰게 돼 있습니다.
다만 기부금 모집과 집행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부대 비용은 기부금 총액의 10% 내에서 충당할 수 있게 돼 있는데, 그렇다고 해서 기부 단체들이 전체 기부금의 10%를 무조건 부대비용으로 쓴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일례로 대한적십자사는 지난 2022년 전체 기부금의 3.5%만 부대 비용에 썼습니다.
[대한적십자사 관계자 : 기부금법에 따라서 최종 결과 보고를 홈페이지라든지 게시를 하고 행안부에도 보고하고 있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전용한다든지 이럴 수가 없습니다.]
그러니까 기부금의 95% 이상은 피해 복구에 쓰이는 겁니다.
그렇다면 이들 단체는 인건비나 운영비를 어떻게 마련하는 걸까.
이번에 가장 많이 모금한 전국재해구호협회는 지난해 운영 비용으로 19억 3천만 원을 썼는데, 임대와 이자 수입이 그보다 더 많습니다.
사회복지 공동모금회의 경우 전체 모금액의 4.6%를 운영비로 썼지만, 이 돈은 기부자가 사용 목적을 사전에 정하지 않은 '일반 모금'에서 충당했습니다.
결국 산불 복구와 같이 목적이 명시된 기부금이 기부단체 운영비로 쓰일 거라는 주장은 전혀 근거 없는 가짜뉴스인 겁니다.
[김광용/행정안전부 대변인 : 당장 아무것도 못 갖고 밖으로 나오시고 집이 전소된 분들이 수천 가구에 달하고 있습니다. (기부금은) 이런 분들을 지원하기 위해서 쓰이게 되고요.]
더 나아가 이런 기부금은 지방자치단체 등을 거치지 않고 피해 주민에게 직접 전달되기에 제3자가 유용할 가능성 역시 원천 차단됩니다.
(영상편집 : 김종태, 디자인 : 홍지월·방민주·이예솔, VJ : 김준호, 작가 : 김효진, 인턴 : 조장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