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중국 60% 관세' 사실상 현실화…"반격" 예고, 어떻게?

<앵커>

끝으로 이번에는 중국 이야기 들어보겠습니다.

권란 특파원, 중국은 그동안 관세가 여러 차례 부과됐고 이번에 또 상호관세까지 더해지면 거의 50%가 넘는 거 아닙니까?

<기자>

네, 지난 2월과 3월에 각각 10%씩에다가 이번 34%까지 합치면 모두 54%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선 전부터 공약해 온 '대중국 60% 관세'가 사실상 현실화된 겁니다.

800달러 이하의 중국발 소액 소포 면세 혜택도 다음 달부터 없어집니다.

지난 2월에 실시하려다 물류 대란이 빚어지면서 철회했던 바로 그 조치입니다.

저가 제품으로 미국 시장을 공략해 왔던 알리, 테무, 쉬인 같은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들도 직격탄을 맞게 됐습니다.

<앵커>

중국도 가만히 있진 않을 것 같은데 어떤 조치를 취할 것으로 예상됩니까?

<기자>

중국 정부는 미국이 일방적인 괴롭힘 행위를 하고 있다며 "단호한 반격"을 예고했습니다.

다만, 구체적 조치는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궈자쿤/중국 외교부 대변인 : 중국은 이에 대해 단호히 반대하며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해 정당한 이익을 확고히 수호할 것입니다.]

앞서 중국은 미국의 1, 2차 관세 부과 당시에 보복 관세로 맞섰습니다.

하지만 모든 중국산을 겨냥했던 미국과는 달리 농산품 등 트럼프 지지 세력을 겨냥한 핀셋식 대응이었고, 시행 시점에도 말미를 뒀습니다.

이번에도 관세 발효일쯤 대응책을 낼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여전히 '대화'도 강조하고 있는데 트럼프 1기 때 무역 전쟁을 겪으면서 일찌감치 대비를 해온 중국이 이번엔 어떤 카드를 꺼내 들지 고심하고 있는 걸로 전해졌습니다.

그런가 하면 트럼프 취임에 맞춰 대미 외교에 공을 들여온 일본도 24% 상호관세를 맞았습니다.

일본 정부는 "지극히 유감"이라면서도 "대상에서 제외되기 위해 끈질기게 대응하겠다"면서 협상에 무게를 실었습니다.

(영상취재 : 최덕현, 영상편집 : 김종미)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