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제일 많이 일해도 가장 가난…굴레에 갇힌 한국 노인들

<앵커>

초고령사회를 직면한 우리나라가 고민해야 할 문제, 오늘(20일)도 짚어보겠습니다. 한국 노인들은 OECD 국가 가운데 가장 열심히 일하면서도 가장 가난한 역설적 상황에 처해있는데요. 노인 일자리 정책은 많지만, 빈곤을 해결하기엔 역부족입니다.

그 이유를 정성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서울의 한 노인취업지원센터, 취업 상담이 한창입니다.

대기석도 꽉 찼습니다.

[꼭 하고 싶은 직업 써 주시면 될 거 같아요.]

지난해 이곳에 접수된 구직 신청서는 2천200여 건, 1년 새 700명 넘게 증가했습니다.

[양도영 (61세)/구직자 : 사실 애들 키우고 결혼시키고 하다 보면 사실 여유 자금 있는 사람들은 거의 그렇게 많지가 않거든요.]

우리나라의 일하는 노인 비율은 34.9%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데, 회원국 평균의 두 배에 달합니다.

[전철연 (73세)/구직자 : 2019년부터 (노인 일자리 참여) 하고 있으니까 금년 하면 6년째 하고 있어요. 내가 건강하고 또 신체적으로 일할 수 있는 나이가 되면 계속하겠다는 얘기죠.]

하지만 역설적으로 한국 노인이 가장 가난합니다.

노인 빈곤율은 40.4%, OECD 평균의 세 배나 됩니다.

[A 씨 (70세)/구직자 : 은행에 빚냈는데 은행에 이자를 한 달에 또 내야 되는데…. 그것도 못 내고 지금 빚만 지는 거지 지금.]

가난의 굴레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건, 노후 소득보장 제도가 부족한 데다 저임금 일자리로 쏠리기 때문입니다.

정부 예산이 투입된 각종 노인 일자리 참여 노인은 74만 명에서 지난해 107만 명으로 늘었습니다.

하지만 대다수는 평균 월급 29만 원의 '공익활동형' 일자리였습니다.

이렇다 보니 몸이 고돼도, 벌이가 좀 더 나은 전단지 배포 아르바이트에도 노인들이 몰리는 현실입니다.

2시간, 400장 돌리면 3만 원을 손에 쥘 수 있다고 합니다.

[B 씨 (71세)/전단지 배포 아르바이트 : 공공 일자리는 한 번도 생각 안 해봤어요. 한 달에 30만 원도 안 되던데요. 그게 뭔 도움이 크게 되겠어요?]

정부는 올해 노인 일자리를 지난해 대비 7만 개 정도 더 늘리겠다고 밝혔지만, 이대로라면 실질적 효과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전문가들은 공공 일자리의 질적 향상과 더불어, 정년 연장과 계속 고용 등으로 노인이 민간 일자리를 유지하도록 정부가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석재은/한림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기업들이 고령자를 적극적으로 고용하고 하는 부분에 대해서 정책적으로 바람직한 일이니까 나름 인센티브나 이런 것들을 통해가지고 지원을 하는 게 필요할 것 같아요.]

더불어, 노인 빈곤율을 낮추기 위해 전체 노인의 70%가 받는 기초연금 제도를 손질할 필요성도 제기했습니다.

[정순둘/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기초연금을 전체 노인의 70%를 커버하는 게 맞냐는 이야기가 굉장히 많이 나오고, 실제로는 더 빈곤한 노인을 대상으로 조금 더 두껍게 지원하는 게 맞겠다.]

(영상취재 : 양현철·이상학, 영상편집 : 원형희)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