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KT가 해킹 피해 후속 대책으로 전 가입자에 대해 유심 무상 교체를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SK텔레콤 사태 때처럼 유심이 부족할 일은 없을 거라는 게 KT 측의 설명입니다.
김관진 기자입니다.
<기자>
KT는 그동안 불법 초소형 기지국, 펨토셀 접속 기록이 확인된 가입자 2만 2천여 명에 대해서만 유심 무상 교체를 진행해 왔습니다.
하지만 국정감사 기간 보안 우려에 대한 지적이 잇따랐고, 오늘(4일) 열린 이사회에서 유심 무상 교체 대상을 전체 가입자로 확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김영섭 KT 대표/과방위 국정감사 (10월 29일) : 전 고객 대상 유심 교체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준비를 했습니다. 거의 다 마무리 단계인데요.]
KT 가입자들은 지역별로 순차적으로 대리점에서 유심 교체를 받을 수 있는데, 내일부터 광명과 금천 등 해킹 피해가 집중된 지역에서 우선 교체가 시작되고 이후 수도권과 강원, 전국으로 확대됩니다.
대리점 방문이 어려운 고객은 오는 11일부터 택배 배송을 통한 '셀프 개통'도 가능합니다.
KT 김영섭 대표는 이번 사태에 대한 책임을 지고 대표직 연임을 포기하겠단 의사도 밝혔습니다.
지난 4월 해킹 사태로 2천300만 명의 가입자 개인정보가 유출된 SK텔레콤에 대한 배상 권고도 나왔습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산하 분쟁조정위원회는 가입 고객 3천998명이 SK텔레콤을 상대로 제기한 분쟁 조정 신청 사건과 관련해, SK텔레콤이 신청인들이 입은 정신적 피해를 고려해 1인당 30만 원씩 배상하라는 조정안을 의결했습니다.
[곽진 교수/아주대 사이버보안학과 : 피해 보상 같은 그런 형태의 대응보다는 사고가 반복해서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대책 등에 대해서 심도 있게 고민을 해야(합니다.)]
하지만 강제력이 없어 SK텔레콤이 수용할지는 미지수입니다.
앞서 SK텔레콤은 방송통신위원회 분쟁조정위가 위약금 면제 기한을 연말까지 연장하라는 권고를 수용하지 않은 바 있습니다.
(영상편집 : 김진원, 디자인 : 강경림·조수인)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