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연예뉴스 ㅣ 강경윤 기자] 건물 임대 사기로 15억 원에 달하는 피해를 입은 헬스트레이너 양치승(51)이 지난 13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 참고인으로 출석해 억울함을 호소했다. 양 씨는 기부채납 시설의 구조적 허점을 이용한 피해 사례를 폭로하며, 피해자들이 오히려 범법자로 몰리는 불합리한 현실을 강하게 비판했다.
양복 차림으로 증인석에 선 양치승은 지난 2019년 서울 강남구 논현동의 한 상업용 건물에 헬스장을 개업하고 수억 원을 투자해 리모델링에 나섰으나, 2022년 11월 강남구청의 퇴거 명령으로 폐업해야 했던 사연을 밝혔다. 문제의 건물은 민간사업자가 지어 일정 기간 사용한 뒤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 무상으로 귀속시키는 '기부채납' 조건으로 지어진 공공시설이었던 것이다.
해당 건물은 20년간의 무상 사용 기간이 종료되면서 강남구청에 관리·운영권이 넘어가면서 임대차 계약이 무효가 된 것이다. "강남구청, 임대인, 공인중개사로부터 기부채납 건물에 대한 주의 사항을 안내받은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양치승은 "모든 임차인들은 안내받은 적이 없다."라면서 "계약해도 된다는 소리를 듣고 임차인들은 '국가가 운영하라니까 훨씬 안전하겠구나' 하고 생각을 했는데, 결국은 그 반대가 됐다. 공공재산을 무단 사용하고 있다고 형사 고발해 대부분의 임차인이 범법자가 됐다."라고 강조했다.
양치승 씨가 밝힌 피해 규모는 보증금 3억 5천만 원, 나머지 시설비 등을 포함해서 개인 피해액만 15억 원 정도였다. 전체 피해는 16개 업체에 달하며 약 40억 원 정도로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양치승은 "억울함을 호소하려고 나온 게 아닙니다. 억울한 사람이 너무 많아서 그걸 알리기 위해 나왔다."면서 "너무 많은 거짓말과 속임수가 있었고, (기부채납 건물이) 공공으로 넘어갔을 때 임차인을 보호해 줘야 하는데 그런 게 전혀 없었다. 개발업자와 공무원이 결탁하면 신종 전세사기가 나올 수 있다고 생각했다. 많은 사람들이 파산 위기에 직면해 있는데 오히려 범법자가 되는 등 많은 아픔을 겪고 있다."라고 피해 사실에 다시 한번 소리 높였다.
이에 대해 국토교통부 장관은 "민간투자 사업에서 임차인 보호가 미흡했던 점을 인식하고 있다."라는 답변을 내놨다.
(SBS연예뉴스 강경윤 기자)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