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추경호 전 원내대표는 계엄선포 직후, 의원총회 장소를 한 시간 동안 세 번 바꾸고, 우원식 국회의장에겐 본회의를 늦춰달란 요구까지 했습니다. 특검팀은 추 전 원내대표가 이 시간대에 한덕수 전 총리, 윤석열 전 대통령과 잇따라 통화한 사실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백운 기자입니다.
<기자>
12·3 비상계엄 선포 31분 뒤인 밤 10시 59분, 추경호 당시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비상의원총회 소집을 공지했습니다.
장소는 국회.
하지만, 10분 만에 여의도 당사로 장소를 바꿨습니다.
이후 우원식 국회의장과 야당 의원들이 국회로 모이던 1시간 동안, 추 전 원내대표는 국회와 당사로 의총 장소를 두 차례나 더 바꿨습니다.
이런 혼란 속에 4일 새벽 1시 2분, 국민의힘 의원 108명 중 18명만 계엄 해제 요구안 표결에 참여했는데, 추 전 원내대표는 국회에 있었는데도 불참했습니다.
[추경호/전 국민의힘 원내대표 (지난해 12월 4일 새벽) : 원내대표로서 당의, 또 우리 의원들의 입장을 정해야 하기 때문에 소통하면서 제가 (본회의장에) 들어가지 않았습니다.]
특검팀이 주목하는 건 추 전 원내대표의 통화 기록입니다.
추 전 원내대표는 의총 장소를 재공지하는 과정에서 홍철호 전 정무수석, 한덕수 전 총리, 윤석열 전 대통령과 10분 단위로 잇따라 통화했는데, 특검팀은 계엄 해제를 방해하기 위한 논의가 오간 건 아닌지 의심하고 있습니다.
계엄군의 국회 진입이 본격화한 뒤, 우 의장이 추 전 원내대표에게 통화로 새벽 1시 본회의 개의를 통보하자, "너무 급하다"면서 "저희가 들어갈 시간을 줘야 하지 않습니까"라고 답한 것도 특검팀은 표결 지연 의도로 판단했습니다.
특검팀은 국민의힘 의원들의 표결권을 막고 표결을 지연시켰다며 추 전 원내대표에 대해 '내란 중요임무 종사 혐의'를 적용했습니다.
하지만, 추 전 원내대표는 국회의 계엄 해제를 방해한 사실도, 의도도 없다며 혐의를 전면 부인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김승태, 영상편집 : 최혜란, 디자인 : 강경림·박태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