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소비쿠폰, 한식당에서 가장 많이 썼다…매출 증가 1위는 안경점

소비쿠폰, 한식당에서 가장 많이 썼다…매출 증가 1위는 안경점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가장 많이 사용된 곳은 한식당으로 조사됐습니다.

NH농협은행은 NH트렌드+ 보고서에서 1천634만 명, 약 9억 2천만 건의 카드 결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공개했습니다.

업종별 소비 금액 비중을 보면, 한식당이 19.4%로 1위였고, 슈퍼마켓(9.1%), 편의점(8.5%), 기타 음식점(6.1%), 정육점(4.7%) 등이 5위권에 들었습니다.

이어 약국(4.6%), 농축수산물점(4.3%), 일반 병원(3.7%), 커피 전문점(2.5%), 미용실(2.4%)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이와 별도로, 업종별 소비 증가율은 안경점이 전월 대비 72.1% 늘어 가장 높았습니다.

이 중 소비쿠폰 비율이 67.8%에 달했습니다.

정육점 소비는 66.3% 늘었고, 미용실(58.3%), 농축수산물점(50.0%), 기타 식음료품점(39.1%), 제과·아이스크림점(38.2%), 중식당(37.8%), 편의점(36.0%), 기성복점(34.2%), 한식당(33.6%) 등의 순이었습니다.

농협은행은 "소비쿠폰으로 금전적 여유가 생긴 시민들이 자기만족을 충족할 수 있는 아이템을 소비한 것 같다"고 평가했습니다.

세대별로 나눠보면, 2030세대는 편의점과 커피전문점을 많이 이용했고, 4050세대는 편의점과 병원, 60대 이상은 약국과 정육점에서 민생쿠폰을 많이 썼습니다.

평소보다 구매가 많이 늘어난 업종은 모든 세대에서 안경점, 미용실, 정육점 등이 상위권을 차지했습니다.

이어 2030세대는 PC·게임방, 4050세대는 제과·아이스크림점, 60대 이상은 내의 판매점 소비를 유독 늘렸습니다.

한 달 간 소비쿠폰 누적 소진율은 73.9%에 달했습니다.

특히 초기 2주 동안 42.0%가 빠르게 사용됐습니다.

이 기간 일반 소비 금액은 전년 동월보다 9.5%, 전월보다 12.6% 각각 늘어 뚜렷한 소비 진작 효과가 나타났다고 농협은행은 전했습니다.

특히 재래시장 소비 금액이 전월보다 10.4% 늘어난 반면,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없는 백화점(-6.0%)과 대형 마트(-6.0%)에서는 오히려 소비가 줄어 대조를 보였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