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자막뉴스] "잘한 결정 vs 과잉 반응" 분실한 보조배터리 때문에 회항한 여객기

어제 한 SNS에 올라온 글입니다.

신혼여행을 마친 승객이 튀르키예에서 한국으로 돌아오던 중 대형 보조배터리를 잃어버린 다른 승객으로 인해 다시 이스탄불로 돌아왔다는 내용입니다.

영상에는 비행기가 아제르바이젠의 바쿠를 지나 카스피해 상공에서 기수를 돌려 다시 회항하는 경로가 담겼습니다.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인천으로 향하던 아시아나 항공 여객기가 회항한 건 현지 시간 29일 오후 5시 42분.

이스탄불을 출발한 OZ552편에서 한 승객이 보조배터리를 좌석 틈에 떨어뜨린 뒤, 기내 어디에서도 찾지 못한 것이 원인이었습니다.

기장은 아시아나 사무실이 있고 안전한 이스탄불로 돌아가기로 결정하고 비행기는 이륙 2시간 30분 만에 다시 공항으로 돌아왔습니다.

만약 배터리가 어딘가에서 눌리거나 열을 받는 상황에 처해질 경우, 폭발이나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본 겁니다.

해당 항공기는 승객 277명을 모두 내리게 한 뒤 점검을 마쳤고, 약 19시간 30분 후인 30일 오후 1시(현지 시간) 다시 인천으로 출발했습니다.

아시아나항공 측은 "안전을 위한 불가피한 조치였다"며 "적절한 현지 숙소와 식사를 제공했다"고 밝혔습니다.

리튬이온 보조배터리는 과열과 압력에 민감해 작은 충격에도 폭발 위험이 있습니다.

실제 지난 1월, 김해공항에서 출발을 준비하던 에어부산 항공기에서 보조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기내 선반과 바닥 일부가 불에 타 국토부가 기내 보조배터리를 비닐백에 담아 보관하도록 지침을 변경했습니다.

지난 3월에는 에어프랑스의 보잉777 항공기가 프랑스 파리 오를리 공항을 출발해 카리브해 과들루프로 향하던 중 승객이 기내에서 휴대전화를 잃어버린 뒤 일정 시간 동안 찾지 못하자 약 2시간 만에 출발지로 되돌아왔습니다.

보조배터리 문제가 계속되자 이에 최근에는 온도 감응 스티커 도입과 방화백 의무 비치 등의 새 대책까지 검토되고 있습니다.

일부에선 이번 회항이 "과한 조치 아니냐"라는 지적도 있었지만, "사소해 보여도 절대 가볍게 넘길 수 없는 일"이라며 "잘한 결정이었다"라는 반응들이 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해당 콘텐츠는 AI 오디오로 제작됐습니다.

(구성 : 최석훈(인턴), 영상편집 : 김나온, 디자인 : 임도희, 제작 : 디지털뉴스편집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