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선 Pick
펼쳐보기

여성가족부 확대냐 폐지냐…대선 후보들이 밝힌 공약은

<앵커>

대선 주요 후보와 정당의 공약을 체크하는 시간 '대선공첵'입니다. 2년 3개월째 장관 자리가 공석인 여성가족부를 두고 주요 대선 후보들의 공약이 엇갈리고 있는데요.

김수영 기자가 자세히 전해드립니다.

<기자>

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가 여성가족부의 기능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걸로 확인됐습니다.

민주당 선대위 고위 관계자는 "여가부의 인력을 늘리고, 부처 내 조직도 신설할 필요가 있다"며 "앞으로 여가부가 인구 문제 대응도 맡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민주당은 여가부 기능을 개선하겠다는 쪽이지만, 확정된 방안은 아니라는 입장입니다.

[조승래/민주당 중앙선대위 수석대변인 : 여가부 명칭을 변경하고 확대한다든지 사실은 우리가 결정한 바도 없고….]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오늘(14일), 여가부 확대 또는 폐지 문제와 관련해 여성 권리가 더 향상될 필요가 있다며 다만, 한쪽으로 몰고 가는 건 현실과 맞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김문수/국민의힘 대선 후보 : 여가부 없애야 한다는 것도 아니고, 여가부를 무조건 확대하자는 것도 아닙니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일찌감치 '여가부 폐지'를 공약으로 내놨습니다.

[이준석/개혁신당 대선 후보 : 그 부처의 존속으로 인해 가지고 이득을 보는 집단은 여성단체 카르텔밖에 없다.]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는 여가부를 부총리급의 '성평등부'로 격상하고, 성 평등을 모든 정책의 기조로 삼겠다고 공약하기도 했습니다.

1998년 대통령 직속의 여성특별위원회로 출발해 2001년 여성부, 2005년 현재의 여성가족부로 확대 개편됐습니다.

이명박 정부 때는 여성부로 축소됐다가 여가부로 되돌려지기도 했고, 윤석열 전 대통령은 후보 시절 여가부 폐지를 약속했지만 이후 야당의 반대로 무산됐습니다.

지난 2023년 2월 이후 지금껏 여가부 장관은 공석인 상태입니다.

[조병우/건국대 행정학과 교수 (한국정책학회) : (여가부 논란의 배경은) 여성과 가족을 논할 때 여성의 측면에서만 가족을 논하기 때문이거든요. 새로운 형태의 가족까지 포괄하고자 하는 논의가 돼야 하는 거거든요.]

차기 정부에서 여성가족 분야의 복잡다단한 정책 조율을 어떻게 할지, 전체 정부 조직의 청사진과 맞물려 관련 논의가 진행돼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 원형희, 디자인 : 서승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