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트럼프 행정부는 일단 이렇게 관세를 매긴 뒤에 나중에 협상을 통해 그걸 좀 풀어줄 수도 있다는 입장입니다. 이 말은 관세를 줄이기 위해서는 우리도 적극적으로 미국과 협상에 나서야 한다는 이야기입니다.
어떤 전략이 필요할지는 박현석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아침 7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주재 긴급 경제안보전략 TF 회의를 시작으로, 경제·통상 관련 부처는 온종일 대책 회의로 분주했습니다.
우리 수출에 미칠 영향을 기업들로부터 직접 들으며 지원 방안을 논의하기도 했습니다.
당장 오늘(3일)부터 25%의 관세가 적용된 자동차 산업에 대해서는 다음 주까지 긴급 지원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트럼프 행정부가 선 관세 부과, 후 협상 기조를 밝힌 만큼 대미 교섭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입니다.
[한덕수/대통령 권한대행 : 즉시 통상교섭본부장의 방미를 추진하는 등 각급에서 긴밀한 대미 협의를 추진하고….]
한미 FTA 체결로 인한 무관세 효과가 무의미해진 상황에서, 협상을 통해 기본관세 10%에 더해진 16%의 상호관세를 최대한 낮추는 게 급선무입니다.
미국이 우리나라에 원하는 건 트럼프 대통령이 쥐고 흔든 미 무역대표부의 나라별 무역 장벽 보고서에서 확인됩니다.
수입 소고기 월령 제한, 자동차 배출가스 규제, 플랫폼 독과점 규제와 인터넷망 사용료 문제, 원전에 대한 외국인 소유 금지 등 다양한 분야의 법과 정책을 문제 삼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자동차 배출가스 규제 등 이미 정책이 바뀌었는데도 미국이 잘못 알고 있는 부분도 있다고 정부 관계자는 설명했습니다.
이런 오해부터 바로잡고, 조선, 반도체, 에너지 등 미국이 필요로 하는 분야의 협력을 협상 카드로 활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태규/한국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 : 미중 경쟁에서 우리의 공급망이 중요하다, 안 그러면 중국 것을 사야 될지도 모른다, 한국에서 수출하는 물건이 싸야 미국한테도 좋을 것 아니냐(고 설득해야 합니다.) 경제 안보 차원에서 협력이 중요하고.]
미중 간 첨단 산업 패권 경쟁 상황이나, 세계무역기구를 활용한 다자무역체제 강화 등을 지렛대로 삼는 전략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영상취재 : 김현상, 영상편집 : 이소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