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극심한 가뭄으로 식수난에 시달리고 있는 강릉시의 저수율이 오늘(3일)은 13.9%까지 떨어졌습니다. 계곡이 마르면서 식수가 끊긴 인근 삼척 산간 마을 22곳에서도 긴급 급수 지원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김태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강원도 삼척의 한 산골 마을로 소방차가 들어옵니다.
마을 공동 집수정에 관을 연결해 싣고 온 물을 붓습니다.
43가구 50여 명이 사는 이 마을은 벌써 열흘 째 하루 3차례씩 급수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박경식/마을 시장 : 아주 뭐 진짜 물 아무리 절약해 쓰고 마을운반 급수를 해도 지금 물이 많이 부족한 상태입니다. (이런 게 거의 처음이겠네요?) 네, 처음이죠.]
인근의 또 다른 산골 마을.
이 마을 역시 바로 옆 계곡물이 마르면서 식수를 구하기 어렵게 되자 하루 2~3차례씩 산불 진화 차량으로 생활용수를 공급받고 있습니다.
한우 농가는 소 먹일 물 구하는 게 가장 큰 일과가 됐습니다.
[진상주/한우 농가 : 물을 퍼 담아서 구유에 갖다 부어주고 자꾸 그러니까 아 뭐 감당을 못하겠어요. 뭐 먹는 게 얼마나 먹는지….]
삼척에서도 지난 한 달 새 산간 마을 22곳에서 가뭄에 따른 식수난을 겪어 420여 가구가 급수를 지원받았습니다.
산간 마을 주변 나무는 잎이 말라버렸고 콩잎도 모두 누렇게 변해버렸습니다.
[김덕진/콩 재배농 : 꽃이 펴서 열매가 달려도 아무것도 없잖아요. (다 비었네요?) 이거 까 보면 아무것도 없어요. (알이 없는 거네요?) 알이 없어요.]
올 들어 지난달 말까지 강릉에 내린 비는 404mm로 기상 관측이 시작된 1911년 이후 114년 만에 가장 적은 양으로 기록됐습니다.
강릉 지역 주요 수원인 오봉저수지 저수율은 오늘 오전 9시 기준 13.9%로 연일 내리막을 보이면서, 강릉지역의 수도계량기 75%가 잠긴 상태입니다.
또 공중화장실 47곳을 폐쇄한 데 이어, 수영장 3곳과 청소년 카페 2곳의 운영이 중지됐습니다.
끝 모르게 이어지는 가뭄 속 식수난이 강릉에 이어 동해안 지역 일부 산간 마을로도 확산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김대철, 영상편집 : 오영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