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자신의 재산 가치 때문에 유예했나…"트럼프 금융자산 60%가 채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AP, 연합뉴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국제사회를 상대로 무차별적인 관세 폭탄을 쏟아내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9일(현지시간) 돌연 90일간 유예로 입장을 바꾼 것은 국채 금리 급등 때문이라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세계 경제가 휘청이는 상황에서도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다가 채권에 집중된 자신의 재산 가치가 위태로워지자 행동에 나선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겁니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18일, 지난해 기준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재산 내역을 분석한 결과 채권 투자액이 1억 2,500만 달러(약 1,780억 원)에서 4억 4,300만 달러(약 6,310억 원) 수준에 달했다고 보도했습니다.

금융 자산이 2억 600만 달러(약 2,934억 원)에서 6억 2,000만 달러(약 8,831억 원) 상당인 점을 고려하면, 가장 적은 금액을 기준으로 해도 채권 비율이 약 60%에 달하는 셈입니다.

반면, 주식 투자 비율은 10% 미만에 불과했습니다.

뉴욕타임스는 채권의 최소 가치와 주식의 최대 가치를 비교하는 보수적인 추정치를 사용하더라도, 트럼프 미디어를 제외하면 트럼프 대통령이 주식보다 두 배 많은 채권을 보유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마이크로소프트나 애플 같은 회사채를 1,800만 달러(약 256억 원)에서 7,500만 달러(약 1,068억 원), 미국 국채는 900만 달러(약 128억 원)에서 4,200만 달러(약 598억 원) 수준으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지방채는 전체 채권 보유액의 약 80%에 달했습니다.

뉴욕타임스는 트럼프 대통령의 개인 자산이 관세 유예 결정에 영향을 미쳤는지는 알 수 없다고 하면서도, 각계의 압박과 주식시장 폭락에도 꿈쩍 않던 그가 채권시장이 패닉 상태에 빠지자 움직였다고 짚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유예 발표 이후 "채권 시장은 매우 까다롭다"거나 "(채권 시장을) 지켜보고 있다"고 말해, 국채 금리가 주요 원인이었음을 시사한 바 있습니다.

관세 유예 발표 후, 미국 국채 시장은 단기적으로 다소 안정세를 보였습니다.

미국 국채 수익률은 미국 내 다른 채권들의 기준금리 같은 역할을 합니다.

국채 수익률이 등락할 경우, 다른 채권들의 수익률도 이에 비례해 등락할 가능성이 큽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발표 이후 채권시장의 투매가 멈추고 채권 가격이 다시 상승하자, "지금 채권 시장은 아름답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뉴욕타임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재정 때문에 관세 유예를 결정했다는 명확한 정황은 없으며, 그의 포트폴리오 구성이 우연의 일치일 수 있다고 해석했습니다.

그러나 이번 사건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개인적 이익과 정치적 이익이 얽혀 있다는 점, 즉 자기 재산을 통제할 수 없는 곳에 백지위임하지 않아 발생한 윤리적 문제가 부각된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