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시진핑, 베트남에 미 관세 공동 대응 촉구

시진핑, 베트남에 미 관세 공동 대응 촉구
▲ 시진핑 중국공산당 총서기와 또 럼 베트남공산당 서기장

미중 '관세 전쟁' 중에 베트남을 방문해 반미 우군 확보에 나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미국의 일방적 괴롭힘에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 주석은 어제 하노이에서 또 럼 베트남공산당 서기장을 만나 "중국과 베트남은 경제 세계화의 수혜자로, 전략적 의지를 높이고 일방적 괴롭힘 행위에 함께 반대해야 한다"며 "글로벌 자유무역 체제와 산업·공급망 안정을 수호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중국은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전 세계를 상대로 시도 중인 관세 인상을 '일방적 괴롭힘'으로 규정해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 이후 현재까지 중국을 향해 20%의 보편관세와 125%의 상호관세 등 총 145%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베트남은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에서 중국의 가장 큰 무역 상대국이면서 지난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미중 무역 전쟁의 최대 수혜국으로 꼽혔습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중국산 상품의 대미 우회 수출 경로로 낙인이 찍혀 46%라는 초고율 상호관세 표적이 됐습니다.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 주석은 어제 회담에서 중국-베트남 운명공동체 건설을 위한 6대 조치도 제시했습니다.

6대 조치는 ▲ 고위급 소통 강화 등 전략적 상호신뢰 증진 ▲ 외교·국방·공안(경찰) 분야 장관급 '3+3' 전략대화 및 국경 간 범죄 공동 대응 등 안보 협력 강화 ▲ 철도·도로·인공지능(AI) 등 산업 협력 확대 ▲ 인문 교류 ▲ 다자 협력 ▲ 더 긍정적인 남중국해 해상 교류 등입니다.

또 럼 서기장은 양국 고위급 교류와 안보·경제 협력이 필요하다는 데 동의하는 한편 "베트남은 중국과 협조를 강화해 다자주의를 견지하고, 평화공존 5원칙과 국제무역 규칙을 수호하며, 양국 합의를 준수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평화공존 5원칙은 1953년 중국 초대 총리 겸 외교부장인 저우언라이가 인도와 국교 수립을 준비하는 과정에 확립한 외교 강령입니다.

1954년부터 정식으로 적용됐고 이듬해 5월 미국-소련 냉전에 맞서 '비동맹' 노선을 제시한 인도네시아 '반둥회의'의 정신적 기초가 됐습니다.

5원칙은 ▲ 상호 주권·영토 완전성 존중 ▲ 상호 불가침 ▲ 내정 불간섭 ▲ 평등·호혜 ▲ 평화공존 등 입니다.

아울러 또 서기장은 중국과의 남중국해 영유권 갈등 상황에 관해선 "베트남은 중국과 해상 이견을 적절히 처리하고 해상 안정을 수호할 용의가 있다"고 언급했다고 신화통신은 전했습니다.

회담 후 양국은 상호연결성·AI·검역·농산물 무역 등의 분야에 걸친 총 45건의 합의를 체결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