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정부, 산불 피해 지역 긴급금융지원…"금융상담센터 설치"

정부, 산불 피해 지역 긴급금융지원…"금융상담센터 설치"
▲ 경남 산청군 지역 산불 발생 나흘째인 24일 오전 헬기가 산청군 단성면 일대 산불을 진화하고 있다.

정부가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경남 산청군 산불 피해와 관련해 전 금융권으로 구성된 피해 지원 금융상담센터를 설치하고, 피해 지원을 위한 금융 지원 방안을 마련했습니다.

금융위원회는 산불 피해 가계와 소상공인·중소기업을 위한 금융 지원 방안을 24일 발표했습니다.

우선 은행과 상호금융업권에서는 산불 피해 거래 고객을 대상으로 긴급생활자금을 지원합니다.

신한·우리·국민·아이엠·부산·경남은행은 피해 개인을 대상으로 최대 2천만 원을, 하나은행은 최대 5천만 원을 긴급생활안정자금으로 지원합니다.

농협은 피해 조합원 대상 세대당 최대 1천만 원을 무이자로, 수협은 피해 입증 고객을 대상으로 인당 최대 2천만 원의 긴급생계자금 대출을 지원합니다.

산불 피해 가계에 기존 대출 만기 연장과 상환 유예, 분할 상환 등도 지원됩니다.

신한·국민은행은 만기 연장, 금리 우대(최대 1.5%), 연체이자 면제 등을, 우리·하나·경남은행은 만기 연장(최대 1년)과 금리 우대(최고 1.0%), 상환 유예를, 농협은행은 이자 납입 유예와 상환 유예를, 부산은행은 만기 연장(최대 1년)과 상환 유예를 지원합니다.

전 카드사는 최대 6개월의 상환 유예와 피해 발생 후 신규 대출 금리를 최대 30% 할인합니다.

농협은 원리금 상환 유예 최대 12개월을, 수협·신협·산림조합은 원리금 상환 유예와 만기 연장을 최대 6개월 지원합니다.

보험사들은 산불 피해 고객의 보험료 납입 의무를 최장 6개월 유예하고 보험계약대출 신청 시 대출금을 신속하게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카드사들은 산불 피해 고객의 신용카드 결제 대금을 최대 6개월 청구 유예하고, 일부 카드사는 결제 대금 유예 종료 후 분할 상환(신한·현대), 산불 피해 이후 발생한 연체료 면제(KB국민) 또는 감면(롯데·우리·현대), 연체 금액 추심 유예(롯데·우리·하나·현대) 및 분할 상환(롯데·하나) 등도 추가로 지원합니다.

산불 피해 개인이 채무를 연체한 경우, 신용회복위원회에 특별 채무 조정을 신청하면 최대 1년 무이자 상환 유예와 채무 감면 우대(70% 고정) 등 혜택을 추가로 제공받습니다.

산불 피해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을 위한 금융 지원 방안도 마련됐습니다.

정책금융기관(산업은행·기업은행) 및 은행권 등은 피해 기업·소상공인에 복구소요자금·긴급운영자금을 지원합니다.

국민·신한·우리·하나·농협·아이엠·부산·경남은행은 피해 상인을 대상으로 최대 5억 원의 긴급운영자금과 특별우대금리를 제공하고, 산은도 기업당 한도 이내, 기은도 5억 원 이내의 기업 대상 긴급운영자금을 지원합니다.

신용보증기금은 피해 기업이나 소상공인이 금융권에 복구 자금 대출을 신청하는 경우 특례보증을 지원합니다.

또 정책금융기관과 은행·저축은행·상호금융권 등은 피해 기업·소상공인의 기존 대출금에 대해 최대 1년간 만기 연장·상환 유예 등을 지원합니다.

금융위원회는 금융감독원, 금융유관기관, 업권별 협회와 이날 산불 피해 긴급금융대응반을 구성하고, 피해 상황 파악 및 금융 지원 대응을 총괄적으로 점검할 계획입니다.

금감원 내 금융상담센터(1332), 금융업권협회, 개별 금융사 등을 통해 금융 지원과 신청 절차를 문의하면 됩니다.

금융 지원을 신청하려면 지자체가 발급하는 재해피해확인서를 먼저 발급받아 지참해야 합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