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가계빚 1년 만에 줄었다…부동산 부진·정책대출 감소 등 영향

가계빚 1년 만에 줄었다…부동산 부진·정책대출 감소 등 영향
올해 1분기 전체 가계 신용(빚)이 전 분기보다 2조 원 이상 줄었습니다.

1년 만의 감소로, 높은 금리와 부동산 거래 부진에 대출 수요가 위축된 데다 정책대출 상품 공급과 연초 카드 사용도 적었기 때문입니다.

한국은행이 오늘(21일) 발표한 '2024년 1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천882조 8천억 원으로, 역대 최대 기록이었던 작년 4분기(12월 말·1천885조 4천억 원)보다 0.1%(2조 5천억 원) 줄었습니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부업체·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 금액(판매신용)까지 더한 '포괄적 가계 부채'를 말합니다.

우리나라 가계신용은 통화 긴축 속에서도 지난해 2분기(+8조 2천억 원)·3분기(+17조 원)·4분기(+7조 원) 계속 늘었다가 결국 네 분기 만에 뒷걸음쳤습니다.

가계신용 중 판매신용(카드 대금)을 빼고 가계대출만 보면, 1분기 말 잔액이 1천767조 원으로 전 분기 말(1천767조 3천억 원)보다 2천억 원 감소했습니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잔액 1천76조 7천억 원)은 12조 4천억 원 늘었지만, 증가 폭이 작년 4분기(+15조 2천억 원)보다 줄었습니다.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 대출(잔액 690조 4천억 원)은 12조 6천억 원 줄어 열 분기 연속 감소세를 유지했습니다.

감소 폭도 전 분기(-9조 7천억 원)보다 커졌습니다.

대출 창구별로는 예금은행에서 가계대출이 3개월 사이 3조 2천억 원 늘었지만, 작년 4분기(+11조 4천억 원)와 비교하면 증가액이 3분의 1을 밑돌았습니다.

보험·증권·자산유동화회사 등 기타금융기관의 가계대출도 4조 6천억 원 불었습니다.

주택도시기금 대출(디딤돌·버팀목 대출 등)이 기금 재원을 중심으로 실행된 데다 증권사 대출(신용공여)도 증가세로 전환했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상호금융·상호저축은행·신용협동조합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경우 같은 기간 가계대출 감소 폭이 5조 8천억 원에서 8조 원으로 확대됐습니다.

서정석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가계신용 위축 배경에 대해 "주택거래량이 작년 말 이후 감소하면서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이 줄었고, 주택금융공사 모기지(담보대출) 상품이나 디딤돌·버팀목 등의 정책대출 공급도 전반적으로 축소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신용대출 감소의 경우 금리가 주택담보대출보다 높아 주택담보대출로 대환(갈아타기)되는 영향도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1분기 가계 판매신용 잔액(115조 8천억 원)은 신용카드사를 비롯한 여신전문회사(-2조 1천억 원) 위주로 2조3천억 원 줄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