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역사상 가장 더운 해…"2023년 '기후무능 전환점' 기록될 것"

역사상 가장 더운 해…"2023년 '기후무능 전환점' 기록될 것"
2023년은 역사상 가장 더웠던 1년으로, 인류의 기후위기 대처 능력에 의문이 제기됐다고 세계적 과학자들이 경고했습니다.

1980년대 기후 위기를 최초로 공개 경고한 제임스 핸슨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는 지난달 29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과 인터뷰에서 "정부들이 지구 온난화를 막는 데 실패했을 뿐만 아니라 온난화 속도가 오히려 가속화했다"며 "훗날 되돌아봤을 때 올해와 내년이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 정부의 무능함이 드러나게 된 전환점으로 기록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최근 미국 국립해양대기청은 지난 174년 중 2023년이 가장 더운 해가 될 확률이 99%가 넘는다고 밝혔습니다.

미국 기후분석단체 버클리 어스는 2023년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이상 높았을 것이 거의 확실하다고 밝혔습니다.

독일 포츠담 기후영향연구소의 요한 록스트롬 교수는 "2023년은 폭염, 가뭄, 홍수, 화재, 해수온 이상 등의 강도 측면에서 충격적"이라며 "지구가 지난 250년간 인류의 압력에 대해 극단적 청구서를 보내는 등 대응 방식을 바꾸고 있음을 목격 중일지도 모른다"고 말했습니다.

2018년 '온실지구'라는 논문에서 빙상 용융과 해수면 상승의 도미노 위험을 경고한 그는 올해 가장 위험해 보이는 징조로 해수온의 급격한 상승을 꼽았습니다.

그러면서 "이런 변화가 왜 이렇게 급격한지 모르고 있다. 그에 따른 미래 결과도 모른다"며 "변화의 첫 징후인지, 일시적 이상인지도 알 수 없다"고 우려했습니다.

남극을 연구하는 과학자들도 극지 해빙 분포가 2023년 여름과 겨울 연이어 최저치를 기록한 사실에 당황하고 있습니다.

남극 북단 킹조지섬의 칠레 연구팀은 강설기인 2023년 7월 전례 없는 강우 현상을 목격했습니다.

지난 1월에는 남극 웨들해의 브런트 빙붕에서 영국 런던 정도 크기의 빙산이 바다로 떨어져 나왔습니다.

브라질 극지·기후연구소 부국장인 프란시스코 엘리시우 아키노 박사는 "이 같은 경보는 현재 진행 중인 지구 환경변화의 신호로, 극지 과학자들에게는 설명하기 어려운 도전 과제"라고 말했습니다.

이 같은 위기 징후는 실제 재난재해로 연결됐습니다.

하와이 마우이섬에서는 뜨거운 대기가 촉발한 산불로 97명이 사망하는 등 섬 전체가 잿더미가 됐습니다.

최근 녹아내려 맨땅이 드러난 그린란드 빙상 가장자리 (사진=Kevin Krajick/Earth Institute 제공, 연합뉴스)
▲ 최근 녹아내려 맨땅이 드러난 그린란드 빙상 가장자리

리비아에서는 열대성 폭풍이 동반한 폭우로 인해 대홍수가 발생, 4천여 명이 숨지고 1만 명이 실종됐습니다.

그리스에서는 유럽연합 관측 역사상 최대 규모의 산불이 발생해 20명이 사망했습니다.

서유럽과 아프리카, 미국 등지에서는 섭씨 50도를 넘나드는 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지면서 수많은 사망자가 발생했습니다.

가디언은 수년 후에는 올해의 이상 고온과 재난이 새로운 표준이 될 것이고, 2023년이 오히려 가장 기온이 낮고 재난이 적었던 해로 기록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그러나 지난 13일 폐막한 제28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8)의 결론은 '화석연료에서 멀어지는 전환'이라는 모호한 합의가 전부였습니다.

핸슨 교수는 리더십의 교체만이 해법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젊은이들이 자신의 미래를 책임져야 한다"며 "오늘날 격동적인 정치 상황이 그런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Kevin Krajick/Earth Institute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