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아이폰 원가보다 싸게" '성지'로 유인…불법 지원금 기승

<앵커>

아이폰 신제품의 국내 출시를 앞두고, 원래 가격보다 훨씬 싸게 살 수 있다며 손님들을 끌어모으는 곳이 늘고 있습니다. 사실상 공짜로 살 수 있다며 영업하기도 하는데, 이게 다 업체들의 불법 지원금입니다.

그 현장을 엄민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인터넷 포털에서 휴대전화 '성지'들의 영업은 더 은밀해졌습니다.

인터넷 카페에서 오픈 채팅방으로 유도하더니, 동종업계 종사자인지 확인해야 한다거나 단속을 피해야 한다며 신분증을 요구하거나 직장명, 사원증까지 요구합니다.

아이폰15 출시 전, 통신업계 불법 기승

매장 위치를 알려달라고 하니 주변 중국집 앞에서 만나자는 답이 돌아왔습니다.

서울 신도림의 휴대전화 유통상가를 찾아갔습니다.

휴대폰 맛집, 특가 진행, 최대 할인, 광고 문구가 가득합니다.

얼마까지 보고 왔냐는 한 판매점,

[A 휴대전화 판매점 : 지금 할인을 얼마까지 해준다고 그러던가요?]
아이폰15 출시 전, 통신업계 불법 기승

출고가 125만 원인 아이폰15 128기가 모델을 80만 원 이상 싼 가격에 판다고 합니다.

[A 휴대전화 판매점 : 40만 원쯤 나오세요.]

통신 3사가 밝힌 공시지원금 최대 45만 원에, 유통업체의 추가 지원금까지 감안해도 공식 최저가는 73만 원대인데, 30만 원 이상의 불법 지원금이 더 붙는 겁니다.

또 다른 판매점은 불법임을 의식한 듯 아예 가격을 언급하지 말라고 합니다.

[B 휴대전화 판매점 : (이게 만 원 단위예요? 24….) 금액 말씀하지 마세요.]

단말기 불법 지원금은 신용카드 불법 판촉과 결합돼 '공짜폰'까지 만들어냅니다.

[C 휴대전화 판매점 : (카드 결합했을 때 더 싸다고.) 카드 결합하면 공짜. 오늘 하셔야 될 거예요, 기간이 얼마 안 남아서.]

특히 아이폰이나 갤럭시 등 신제품이 나오는 시기에 이렇게 치고 빠지는 식의 불법 영업이 기승을 부립니다.

신규 가입이나 번호 이동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려는 통신사들이 유통업체에 주는 수수료, 일종의 리베이트가 이런 불법 지원을 가능하게 합니다.

유통업체는 당장 손해인 것 같지만, 가입이 몰릴 때 많이 팔아 둘수록 역시 이득이라고 합니다.

[통신업계 관계자 : 고객들이 계속해서 대리점 소속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때 발생하는 수수료도 있기 때문에 많은 고객을 확보해서 장기적인 수익을 바라는….]

통신업계의 불법 보조금 관행은 더 음성적이고, 더 혼탁한 방식으로 시행된 지 10년이 돼가는 단통법을 조롱하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 윤태호, VJ : 김영래)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