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자율주행 배달 로봇 시장을 선점하려고 전 세계 기업과 정부들이 나서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도 현장요원 없이 인도에서 배달 로봇이 다닐 수 있게 규제를 완화하겠다고 밝혔는데, 앞으로 어떤 과제가 남았는지 정준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자율주행 로봇이 건널목 앞에 멈춰 서더니 차가 지나간 것을 확인하고 길을 건넙니다.
몸체 뚜껑을 열어 배달 물건을 받고서는 목적지로 향합니다.
지금까지는 배달 로봇 한 대당 현장요원 한 명이 동행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앞으로는 원격 관리 시스템 등 안정성이 입증되면 현장 요원 없이 자율주행 배달이 가능합니다.
인건비를 아끼고 비대면이 가능한 자율주행 배달 로봇.
시장 선점을 위해 전 세계 기업들뿐 아니라 정부들도 나서고 있습니다.
미국은 6년 전부터 관련법을 정비해 20개 주에서 인도 통행을 허용하고 있고, 중국에서는 학교와 도심 도로 등에서 자율주행 로봇들이 달리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는 당초 2025년이 목표였던 자율주행 로봇의 인도 통행을 내년부터 가능하도록 법을 개정하기로 했습니다.
규제 완화의 첫걸음을 뗐지만, 개인정보 침해 우려로 자율주행에 필요한 카메라 데이터 수집이 제한돼 있고, 30kg 이상의 로봇은 공원 출입이 금지되는 등 여전히 많은 제약이 있습니다.
법과 규제가 기술발전 속도를 여전히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입니다.
[김병수/로보티즈 대표 : 데이터가 쌓여야 되거든요. 그런데 그런 시간이 그동안 너무 부족했기 때문에 하루라도 빨리 이것이 이제 시작되면 좋겠고….]
다만, 규제 완화를 위해선 철저한 안전성 입증이 선행돼야 합니다.
[박태준/한양대 로봇공학과 교수 : 테스트베드를 구축해서 여기서 한 번 시험을 다양하게 해볼 수 있게 그래야 기업에서 이제 안전 대책이 포함된 자율주행 로봇을 (출시할 수 있습니다.)]
지난해 2천500억 원 규모였던 전 세계 배달 로봇 시장은 2026년 1조 1천300억 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