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포스트 장미란' 박혜정, 항저우행 놓고 손영희 · 이선미와 경쟁

'포스트 장미란' 박혜정, 항저우행 놓고 손영희 · 이선미와 경쟁
'포스트 장미란' 박혜정(19·안산공고)이 '나이 제한'에서 벗어나 세계 시니어 무대에 도전합니다.

박혜정의 단기 목표는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과 2024년 파리올림픽 메달 획득입니다.

2028년 로스앤젤레스올림픽에서는 금메달에 도전한다는 장기 목표도 세웠습니다.

첫 관문은 세계무대에서 굵직한 성과를 낸 선배들과 벌이는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대표 선발전입니다.

대한역도연맹은 강원도 양구군 용하체육관에서 진행 중인 전국춘계역도선수권대회 말미인 13~14일에 아시안게임 대표 선발전을 엽니다.

하이라이트는 14일에 열리는 여자 최중량급(87㎏ 이상) 경기입니다.

만 19세가 돼 역도 시니어 종목 출전이 가능해진 박혜정도 출전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경쟁자의 이력도 화려합니다.

'역도 여제' 장미란 은퇴 후 오랫동안 한국 여자 역도 최중량급 간판으로 활약한 손영희(29·부산광역시체육회)와 지난해 열린 도쿄올림픽에 출전한 이선미(22·강원도청)는 박혜정이 넘어야 할 벽입니다.

손영희는 지난해 12월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열린 2021 세계역도선수권대회에서 합계 282㎏(인상 123㎏·용상 159㎏)을 들어 우승했습니다.

손영희, 2021 세계역도선수권 여자 최중량급 우승 (사진=국제역도연맹 인스타그램 캡처, 연합뉴스)

당시 중국과 북한은 참가하지 않았습니다.

손영희는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은메달리스트이기도 합니다.

이선미는 도쿄올림픽에서 합계 277㎏(인상 125㎏·용상 152㎏)으로 4위에 올랐습니다.

용상 성공하는 이선미 (사진=연합뉴스)

이선미는 2017년과 2019년 세계주니어선수권 챔피언입니다.

그러나 기록에서는 박혜정이 두 선배를 압도합니다.

중학교 시절부터 '포스트 장미란'으로 불린 박혜정은 2021년 10월에 열린 제102회 전국체전에서 합계 290㎏(인상 124㎏·용상 166㎏)을 들었습니다.

당시 박혜정이 세운 합계 290㎏은 '올림픽 무대'에서도 메달권에 진입할 수 있는 기록입니다.

도쿄올림픽 역도 여자 최중량급 경기에서 우승을 차지한 리원원(중국·합계 320㎏)을 제외하면, 합계 290㎏을 넘긴 선수는 없었습니다.

은메달리스트 에밀리 캠벨(영국)이 합계 283㎏, 3위 사라 로블레스(미국)가 282㎏을 들었습니다.

박혜정은 나이 제한 때문에 도쿄올림픽에 출전하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고교생' 박혜정은 당장 올림픽에 출전해도 은메달을 딸 수 있는 엄청난 기량을 지녔습니다.

'포스트 장미란' 박혜정 (사진=연합뉴스)

당장 세계 시니어 무대에서도 리원원을 제외하면 박혜정보다 높은 기록을 세운 선수가 없습니다.

무섭게 성장하는 박혜정이 손영희와 이선미를 넘어 '국내 일인자'로 공인되면, 박혜정의 생애 첫 종합국제대회 메달 획득 가능성은 매우 커집니다.

항저우 아시안게임 역도에는 금메달 14개가 걸렸습니다.

남자부 7체급(61㎏급, 67㎏급, 73㎏급, 81㎏급, 96㎏급, 109㎏급, 109㎏ 이상급), 여자부 7체급(49㎏급, 55㎏급, 59㎏급, 64㎏급, 76㎏급, 87㎏급, 87㎏ 이상급) 경기가 열립니다.

한국에서는 남녀 7명씩 최대 14명이 항저우 아시안게임에 출전합니다.

동일 체급에는 최대 2명이 출전할 수 있습니다.

대한역도연맹 경기력향상위원회는 대표선발전 각 체급 1, 2위를 차지한 선수를 대상으로 '메달 경쟁력' 등을 심사해 항저우 아시안게임 대표 선수 14명을 확정할 계획입니다.

(사진=대한역도연맹 제공, 국제역도연맹 인스타그램 캡처,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