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코로나 중환자 20일 격리해제'에 대한중환자의학회 반대

'코로나 중환자 20일 격리해제'에 대한중환자의학회 반대
코로나19 환자가 전담 중환자 병상에 머무를 수 있는 기간을 최대 20일로 제한한 정부 지침에 의료계가 반발하고 있습니다.

대한중환자의학회는 오늘(20일) '코로나19 및 비코로나19 중환자 병상 부족 및 진료체계에 대한 성명서'에서 "코로나19 중환자 격리해제 기준 상한을 20일로 정한 조치를 연기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정부 방침에 따르면 코로나19 증상 발현 후 20일이 지난 중환자는 격리해제돼 코로나19 전담 병상에서 퇴실하고, 추가 치료가 필요할 경우 일반 중환자 병상으로 이동해야 합니다.

학회는 "현재 병원들은 코로나19 중환자 병상 동원으로 인해 비코로나19 중환자 병상 감소가 심각한 상황"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정부의 조치는 코로나19 격리해제 중환자에게 일반 중환자 병상을 제공하라는 명시적 지침으로 해석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병원에서 중환자로 악화하는 환자, 응급 수술 후 집중 치료가 필요한 환자, 응급실로 내원하는 중환자 등 다양한 비코로나19 중환자가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제한하거나 침해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격리해제된 코로나19 중환자 치료를 전담할 병상이나 병원이 확보될 때까지 시행을 연기해야 한다"며 "코로나19 중환자 관련 정책 결정에 중환자 진료 전문가가 참여하는 컨트롤타워도 구축해달라"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대한의사협회도 정부의 조치가 의료 현장의 혼란만 가중한다며 재검토를 요구한 바 있습니다.

의협 역시 "격리해제된 코로나19 중환자들이 일반 중환자실에 채워져 일반 중환자의 치료 제한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코로나19가 아닌 환자들은 앞으로 중환자실 입원이 불가능해질 수 있고, 일반 진료가 지연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