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수도권 중증 병상 가동률 75% 넘어…"전국적으로는 여유"

수도권 중증 병상 가동률 75% 넘어…"전국적으로는 여유"
코로나19 위중증 환자가 늘면서 수도권 의료 대응력에 부담이 늘고 있지만, 방역당국은 전국을 기준으로 하면 '비상계획'을 발동할 수준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오늘(15일)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 인터뷰에서 "서울과 인천 등 수도권 중환자실 가동률이 올라가고 있지만, 전국적으로는 여유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박향 중수본 방역총괄반장도 YTN 라디오 황보선의 출발 새아침 인터뷰에서 "현재까지는 수도권 중증 병상이 많이 소진되고 비수도권은 여유 있는 상황"이라며 "준중환자 병상을 확보하는 행정명령을 내려서 효율화에 신경 쓰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어제 오후 5시 기준 수도권 중증 환자 병상 가동률은 76.4%로, 정부가 단계적 일상회복 추진을 중단하는 '비상계획' 발동 기준의 예시로 제시한 '중환자실 가동률 75%'를 넘어섰는데, 정부는 내일 비상계획 발동 기준 등 세부 지침 발표를 앞두고 있습니다.

손 반장은 위중증 환자와 함께 전체적인 확진 규모, 유행 양상 등이 중요한 기준이라면서 "전체 확진자 규모 자체는 2천 명대 중후반을 유지하고 있는데, 5천∼7천 명까지 대비하던 상황에 비춰보면 전체 유행 증가세가 가파른 것은 아니다"라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백신 접종을 일찍 시작한 고령층의 돌파감염이 늘고 있고, 특히 가장 먼저 접종을 시작한 요양병원·시설 등에서 집단감염이 많이 생기고 있어 위중증 환자가 증가하는 양상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박 반장은 "위중증 환자 수가 많아진 것은 전체 확진자 규모가 늘어난 영향으로, 누적 치명률과 위중화율은 과거에 비해 크게 늘지 않았다"며 "돌파감염 발생 연령대가 60대 이상이 많다 보니 위중증으로 가는 사례가 많은 것 같다"고 설명했습니다.

고령층 추가접종 시기를 접종 완료 뒤 6개월에서 5개월로 단축하는 방안에 대해 박 반장은 "질병관리청에서 논의하고 있는데 확정되지 않았다. 아직은 논의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