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중국이 교황청 해킹"…9월 협상 앞두고 공격 정황

"중국이 교황청 해킹"…9월 협상 앞두고 공격 정황
중국 정부의 지원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는 해커집단 '레드델타'가 주교 임명 방식을 둘러싼 협상 재개를 앞두고 교황청 이메일 전산망을 해킹했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미국 보안업체 레코디드 퓨처는 중국 해커들이 교황청과 홍콩 주재 교황청 대표단을 상대로 첩보 활동을 벌인 정황을 포착했다고 밝혔습니다.

중국에서 불교, 이슬람교, 파룬궁 등 종교단체를 겨냥한 사이버 공격은 자주 있었지만, 교황청을 겨냥한 공격이 드러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이 업체에 따르면 교황청을 노린 해킹은 지난 5월 초 시작됐습니다.

에드가 페나 파라 대주교가 교황청 국무원장인 피에트로 파롤린 추기경의 메시지를 담아 홍콩에 있는 교황청 대표단에 보낸 공식 서한에 악성 프로그램이 숨겨져 있었습니다.

레코디드 퓨처는 이 서한이 조작된 것인지, 실제 서한을 해커들이 입수해 교황청의 메일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악성코드를 심은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이번 공격은 중국과 교황청의 2018년 합의와 연관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지었습니다.

마테오 브루니 교황청 대변인은 이에 대한 논평 요청에 응하지 않았습니다.

중국과 협상 경험이 있는 교황청 고위 관리들은 해킹 의혹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갖고 있지 않다는 이유로 말을 아꼈습니다.

레코디드 퓨처가 이번 해킹의 배후로 의심하는 레드델타가 사용한 수법은 과거 중국의 지원을 받은 해킹단체의 수법과 유사합니다.

그러나 새로운 기술과 새로운 코드가 가미돼 실체를 규명하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중국은 공산 정권을 수립한 뒤 1951년 바티칸과 관계를 단절했으나 2018년 9월 중국 정부가 임명한 주교 7명을 교황청이 추인하는 것을 골자로 한 잠정 합의안에 서명하며 관계 개선의 물꼬를 텄습니다.

중국과 바티칸이 마련한 잠정 합의안은 조만간 만료될 예정이어서 올해 9월부터는 양측이 협상을 다시 시작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