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서울시 "송현동 보상 4천671억 원"…대한항공 "절차에 따라 매각"

서울시 "송현동 보상 4천671억 원"…대한항공 "절차에 따라 매각"
▲ 송현동 대한항공 부지

서울시가 대한항공의 송현동 부지 보상비를 책정하는 등 부지 공원화를 위한 사전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이에 연내 최소 5천억 원에 송현동 부지를 매각해 자본을 확충하려던 대한항공은 일단 말을 아끼고 있지만 여전히 난감해하는 모습입니다.

서울시는 경복궁 옆 종로구 송현동 대한항공 부지 보상비로 4천671억3천300만 원을 책정하고 이를 2022년까지 나눠서 지급하는 방안을 마련했다고 오늘(5일) 밝혔습니다.

시가 공고를 낸 북촌지구단위계획 결정 변경안에 따르면 보상비는 공시지가에 보상배율을 적용해 나온 액수입니다.

시는 이 돈을 올해는 건너뛰고 2021∼2022년에 걸쳐 분할지급한다는 내부 방침을 세웠습니다.

지급 액수는 2021년 467억1천300만 원, 2022년 4천204억2천만 원입니다.

시는 이외에 공사비 170억 원, 부대비 29억 원, 예비비 487억 원 등도 미리 책정해뒀습니다.

2022년까지 보상을 마치고 2023년부터 공사비 집행을 시작해 2024년 마친다는 것이 시의 계획입니다.

모든 비용을 합치면 5천357억7천만 원이며 시는 전액을 시비로 산정했습니다.

시의 이런 계획은 지금으로선 내부 방침에 불과하기는 하나, 땅 주인인 대한항공의 의사와는 배치됩니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유동성 위기를 겪는 대한항공은 송현동 부지를 올해 안에 최소 5천억 원에 매각하는 내용을 포함한 자구안을 마련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인허가권을 쥔 서울시가 이 땅에 대한 문화공원 지정 절차를 밟으면서 일종의 '가격 가이드라인'이 될 보상비 수준까지 미리 정해두면 민간 주체 간의 자유로운 매매는 사실상 어려워집니다.

특히 내년 말까지 2조 원의 자본을 확충해야 하는 대한항공의 입장에서는 서울시의 계획대로 송현동 부지를 4천671억 원에 판다고해도 내년까지 매입가의 10%만 손에 쥘 수 있기 때문에 자본 확충 계획에 큰 차질이 빚어집니다.

시는 송현동 부지 매입을 일대일 협상 등의 방식보다는 지구단위계획 결정 등 도시 계획상의 공익사업 방식으로 추진하는 모양새입니다.

시 관계자는 "지구단위계획 변경안을 공람하게 되면 토지 소유주 등 이해당사자에게 정식 공문을 보내게 된다"며 "의견을 내라는 공문을 대한항공에 어제 보냈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대해 대한항공 측은 "내부 검토를 거쳐 적절한 절차에 따라 매각 과정을 진행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도 "(제값에) 안 팔리면 가지고 있겠다"며 '헐값'에는 팔지 않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한 상태입니다.

(사진=서울시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