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신종 코로나 세계 경제 타격 일파만파…"사스보다 클 수도"

신종 코로나 세계 경제 타격 일파만파…"사스보다 클 수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세계 경제에 대한 부정적 충격이 커지고 있습니다.

중국 경제에 미칠 충격은 2003년 사스 때보다 더 클 것이라는 어두운 전망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노무라 그룹 계열사인 노무라 인터내셔널은 "올해 1분기 중국의 실질 국내총생산 증가율이 작년 4분기의 6% 보다 2% 포인트 이상 낮아질 수 있다"고 추정했습니다.

사스 사태의 여파가 컸던 2003년 2분기 중국의 성장률은 9.1%로 전분기의 11.1%보다 2%포인트 하락했는데 이번에는 더 큰 영향이 있을 수 있다는 경곱니다.

노무라의 루 팅 연구원 등은 중국 당국이 유동성 공급, 신용 지원 등 대책을 강구하겠지만 상황을 반전시키지는 못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최초 발생지인 우한은 중국 내 교통 요지이자 중국 GDP의 1.6%를 차지하는 상업 중심지란 점도 전망을 어둡게 하는 요인입니다.

중국 전문 연구기관 '플리넘'도 우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중국의 올해 1분기 GDP 성장률을 2% 포인트 가량 끌어내릴 수 있다고 전망한 바 있습니다.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올해 중국 GDP 성장률이 기존 전망치인 5.7%보다 1.2%포인트 낮아질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S&P는 사스 때 중국 GDP 증가율 둔화 폭이 1.1%포인트 수준이었다는 연구 결과도 소개했습니다.

일간 뉴욕타임스는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성장 엔진 중 하나가 사실상 꺼졌다"며 중국은 세계 최대의 제조 공장이며 전체 생산량의 6분의 1을 차지하는 국가라고 평가했습니다.

중국인 해외 관광객의 지출이 한해에 2천580억 달러, 약 305조 원으로 미국인의 2배에 달하는 상황에서 세계 관광시장에 미치는 충격도 막대합니다.

다만 아직 우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세계 경제에 대한 영향을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최소한 단기적으로는 중국의 생산에 명백히 영향이 있을 것"이라면서도 "전 세계적 영향이 어떨지는 일단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노무라 연구원들도 우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저지될 경우에는 "소비와 생산이 V자 곡선을 그리면서 회복돼 경제 충격이 일시적인 수준에 머무를 수도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