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틱톡' 이어 이번엔 '투톡'…중동산 메신저도 스파이 앱 의혹

앱스토어에 올라온 채팅 동영상앱 '투톡' (사진=연합뉴스)
미국이 중국산 인기 동영상 공유앱 틱톡의 사용에 대해 '경고등'을 켠 가운데, 이번엔 중동산 채팅 동영상앱 '투톡'이 '스파이 앱'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몇달 전 등장한 '투톡'은 주로 아랍에미리트에서 많이 사용되는데, 지난주에는 미국 앱 다운로드 순위에서도 상위권에 오를 정도로 세계 곳곳에서 급부상했습니다.

뉴욕타임스는 현지시간 22일 '투톡'이 실제로는 '스파이 도구'이며, 아랍에미리트 정부가 이 앱을 통해 모든 대화와 관계, 약속, 영상을 감시하고 있다고 폭로했습니다.

신문은 미 정보분야 관리들의 분석과 자체 조사를 통해 이같이 확인했다면서 "애플과 구글 앱을 통해 수백만 명이 내려받은 투톡이 부유한 권위주의 정부들 사이에 불붙은 디지털 무기 경쟁에 가세했다"고 밝혔습니다.

NYT는 "부유한 권위주의 정부들은 적대국과 범죄·테러 조직, 언론인과 비평가들을 감시하기 위해 더욱 효과적이고 편리한 방법을 동원하고 있다"며 "그런 노력으로 세계 도처의 사람들을 자신들의 감시망 아래에 걸려들게 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업계 전문가들에 따르면 투톡을 만든 '브리제이 홀딩'은 UAE 수도 아부다비에 위치한 사이버정보·해킹 회사 '다크매터'와 관련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다크매터에는 UAE 정보 관리들과 전직 미 국가안보국(NSA) 직원, 전직 이스라엘 군사정보요원들이 일하고 있습니다.

신문은 "현재 미 연방수사국, FBI가 사이버범죄 의혹으로 다크매터를 조사 중"이라고 보도했습니다.

UAE는 미국의 중동 최우방국 중 하나이자 아랍국가 중 상대적으로 현대화, 온건화 길을 걷고 있는 나라이지만, 반대파들을 탄압하기 위해 사이버 감시 기술을 적극 활용하고 있습니다.

미 중앙정보국(CIA)과 UAE 정부는 이 사안에 관한 NYT의 취재에 답변을 거부했습니다.

한편, NYT의 취재가 시작된 후 구글과 애플은 지난 19일과 20일 각기 자사 앱 스토어에서 투톡을 삭제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